암흑물질은 도대체 무엇일까? 과학자들은 아직도 이 암흑물질의 정체를 찾아내지 못했습니다. 우리 인간은 우주의 겨우 4%밖에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나머지 23%는 암흑물질, 73%는 암흑에너지로 채워져있죠. 이 암흑물질은 별과 행성, 은하 등등 우리 인간이 볼 수 있는 물질들보다 5배나 더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암흑물질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참고문헌 (설명란 5000자 제한때문에 댓글로 적는다 뷰엉.) (Panek, Richard (2011). 《The 4 Percent Universe: Dark Matter, Dark Energy, and the Race to Discover the Rest of Reality》. 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Chandra/Field Guide to X-ray Sources”. 《Coma Cluster》. “NASA / Focus on the Coma Cluster”. “2MASS Atlas Image Gallery: Galaxy Groups and Clusters”. Infrared Processing and Analysis Center. Colless, M (2001). 〈Coma Cluster〉. P Murdin. 《Encyclopedia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Bristol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Zwicky, F. (1933). "Die Rotverschiebung von extragalaktischen Nebeln" [The red shift of extragalactic nebulae]. Helvetica Physica Acta. 6: 110-127. Bibcode:1933AcHPh...6..110Z. Zwicky, F. (1937). "On the Masses of Nebulae and of Clusters of Nebulae". The Astrophysical Journal. 86: 217-246. Bibcode:1937ApJ....86..217Z. 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694512.html www.sciencetimes.co.kr/news/%EC%9A%B0%EC%A3%BC%EC%97%90-%EA%B0%80%EB%93%9D%ED%95%98%EC%A7%80%EB%A7%8C-%EB%AF%B8%EC%8A%A4%ED%84%B0%EB%A6%AC%ED%95%9C-%EC%95%94%ED%9D%91-%EB%AC%BC%EC%A7%88/ Some details of Zwicky's calculation and of more modern values are given in Richmond, M., Using the virial theorem: the mass of a cluster of galaxies, retrieved 10 July 2007 Freese, Katherine (2014). The cosmic cocktail: Three parts dark matt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A history of dark matter". Ars Technica. Retrieved 8 February 2017. Babcock, Horace W. (1939). "The rotation of the Andromeda Nebula". Lick Observatory Bulletin. 19: 41-51. Babcock, H, 1939, “The rotation of the Andromeda Nebula”, Lick Observatory bulletin ; no. 498 Freeman, K.C. (June 1970). "On the Disks of Spiral and S0 Galaxies". The Astrophysical Journal. 160: 811-830. Bibcode:1970ApJ...160..811F. Overbye, Dennis (27 December 2016). "Vera Rubin, 88, Dies; Opened Doors in Astronomy, and for Women". The New York Times. "First observational evidence of dark matter". Darkmatterphysic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13. Rubin, Vera C.; Ford, W. Kent, Jr. (February 1970). "Rotation of the Andromeda Nebula from a Spectroscopic Survey of Emission Regions". The Astrophysical Journal. 159: 379-403. Bibcode:1970ApJ...159..379R. Bosma, A. (1978). The distribution and kinematics of neutral hydrogen in spiral galaxies of various morphological types (PhD Thesis). Rijksuniversiteit Groningen. Rubin, V.; Thonnard, W.K. Jr.; Ford, N. (1980). "Rotational Properties of 21 Sc Galaxies with a Large Range of Luminosities and Radii from NGC 4605 (R = 4kpc) to UGC 2885 (R = 122kpc)". The Astrophysical Journal. 238: 471. Bibcode:1980ApJ...238..471R. Randall 2015, pp. 13-14. 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3040&cid=62801&categoryId=62801 www.britannica.com/science/electromagnetic-spectrum 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31804&cid=67212&categoryId=67214 imagine.gsfc.nasa.gov/observatories/satellite/wmap/weighing.html wmap.gsfc.nasa.gov/universe/uni_matter.html Croswell, Ken (2002). The Universe at Midnight. Simon and Schuster. p. 165. C. Alcock et al., The MACHO Project: Microlensing Results from 5.7 Years of LMC Observations. Astrophys. J. 542 (2000) 281-307 P. Tisserand et al., Limits on the Macho Content of the Galactic Halo from the EROS-2 Survey of the Magellanic Clouds, 2007, Astron. Astrophys. 469, 387-404 Graff, D.S.; Freese, K. (1996). "Analysis of a Hubble Space Telescope Search for Red Dwarfs: Limits on Baryonic Matter in the Galactic Halo". The Astrophysical Journal. 456 (1): L49-L53. arXiv:astro-ph/9507097. doi:10.1086/309850. S2CID 119417172. Najita, J.R.; Tiede, G.P.; Carr, J.S. (2000). "From Stars to Superplanets: The Low-Mass Initial Mass Function in the Young Cluster IC 348*". The Astrophysical Journal. 541 (2): 977-1003. arXiv:astro-ph/0005290. doi:10.1086/309477. S2CID 55757804. Paul Gilster (22 April 2009). "Ubiquitous Brown Dwarfs: A Dark Matter Solution?". centauri-dreams.org. Retrieved 10 January 2019. Katherine Freese, Brian Fields, and David Graff,[1] Limits on stellar objects as the dark matter of our halo: nonbaryonic dark matter seems to be required. Brian Fields, Katherine Freese, and David Graff,[2] Chemical abundance constraints on white dwarfs as halo dark matter, Astrophys. J. 534:265-276,2000. Arnon Dar, Dark Matter and Big Bang Nucleosynthesis. Astrophys. J., 449 (1995) 550 Wayne Hu (2001). "Intermediate Guide to the Acoustic Peaks and Polarization". Bernard Carr (2020). "Primordial black holes from the QCD epoch: Linking dark matter, baryogenesis and anthropic selection". arXiv:1904.02129 [astro-ph.CO]. earthsky.org/astronomy-essentials/definition-what-is-dark-matter/ Newton highlight - Dark Matter horizon.kias.re.kr/7795/ www.sedaily.com/NewsView/1HTWCRA219 terms.naver.com/entry.naver?cid=40942&categoryId= 32247&docId=1113794 www.ibs.re.kr/cop/bbs/BBSMSTR_000000000735/ selectBoardArticle.do?nttId=14407 ko.wikipedia.org/wiki/%EB%B3%BC%ED%94%84%EA%B0%95_%ED%8C%8C%EC%9A%B8%EB%A6%AC www.sciencetimes.co.kr/news/%EC%9A%B0%EC%A3%BC%EC%9D%98-%EC%9C%A0%EB%A0%B9-EC%95%94%ED%9D%91%EB%AC%BC%EC%A7%88%EC%9D%84-%EC%B0%BE%EC%95%84%EC%84%9C/ arxiv.org/abs/astro-ph/0312273 arxiv.org/abs/astro-ph/0309303 Fukuda, Y.; 외. (1998). “Measurements of the Solar Neutrino Flux from Super-Kamiokande's First 300 Days”. 《Physical Review Letters》 81 (6): 1158-1162. doi:10.1103/PhysRevLett.81.1158. en.wikipedia.org/wiki/Bullet_Cluster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 박성찬 - horizon.kias.re.kr/19313/ 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895483?sid=105 www.dongascience.com/news.php?idx=20107 www.hani.co.kr/arti/PRINT/305555.html wwwmpa.mpa-garching.mpg.de/galform/virgo/millennium arxiv.org/abs/1112.3960 arxiv.org/abs/1404.7661 arxiv.org/abs/1106.2476 www.ksakosmos.com/post/%EC%82%AC%EC%8B%A4-%EC%95%94%ED%9D%91%EB%AC%BC%EC%A7%88%EC%9D%80-%ED%95%84%EC%9A%94-%EC%97%86%EB%8B%A4-%EC%88%98%EC%A0%95%EB%89%B4%ED%84%B4%EC%97%AD%ED%95%99 www.dongascience.com/news.php?idx=29026 www.sciencetimes.co.kr/news/%EC%95%94%ED%9D%91%EB%AC%BC%EC%A7%88%EC%9D%80-%EC%97%86%EB%8B%A4%EC%B2%9C%EC%B2%B4%EB%AC%BC%EB%A6%AC%ED%95%99%EA%B3%84%EC%97%90-%EC%97%84%EC%B2%AD%EB%82%9C-%ED%8C%8C/
설명란에 적기엔 칸이 모자랄 만큼 공부를 하고, 어떻게 설명할지 연구하고, 자료를 짜고 대본을 쓰고, 영상을 만들고, 녹음하고 자막 넣고.... 이렇게 대략 생각해봐도 너무 많고 어려운데 그걸 매 영상마다 하고 계셨네요. 항상 영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그 동안 리뷰엉이님 영상 보면서 졸기도 하고, 잠들때도 있었는데 이렇게 귀한 영상을 그렇게 편하게 보고 있었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떠난 적 없으셨으니까 돌아오셔서 감사하다고는 하지 않겠습니다. 꾸준한 영상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답변을 드리기 전에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유튜브 영상 제작은 정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과정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자료 조사와 대본 작성, 녹음, 편집 등의 작업은 특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리뷰엉이님이 매번 업로드해주시는 유튜브 영상들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영상들을 보면서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보는 동안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과 설명으로 매우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영상을 보는 동안 잠이 오기도 한다는 것은, 리뷰엉이님의 영상이 그리 못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우 편안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과 설명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리뷰엉이님께서는 항상 꾸준하게 영상을 제작해주시고, 그 영상을 통해 많은 도움을 주시기 때문에 정말 감사한 마음으로 항상 지켜보고 있습니다. 리뷰엉이님의 더 많은 활동과 영상을 기대하며, 항상 건강하시고 좋은 일만 가득하시기를 바랍니다!
리뷰엉이님의 양자역학 영상을 처음 보고 리뷰엉이님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챙겨보던 꿈 없던 고등학생이 물리학자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물리학자가 되기엔 어려울지 몰라도 덕분에 아무생각 없이 살던 때와 달리 꿈을 가지고 전보다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 하나로 이렇게 삶을 바꿀 수 있게 한 리뷰엉이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근데 진짜 영상을 만들면서 자기가 만들려고 하는 영상에 대해서 논문을 읽고 책을 사면서 읽고 분석,해석하면서 까지 이렇게 친절하고 열심히 분석해주는 사람이 있는게 너무 감사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과 부분중에 물리를 전공하면서도 양자역학을 배우고 있는데 이렇게 깊이 있고 이해되는 영상은 너무 도움이 되고 제가 배웠던 지식과 영상의 지식을 합쳐서 더 나아가게 해주는 아주 영양분있는 영상을 제공해주시는걸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책을 읽어도 여러 책을 읽어야 이런 깊이있는 이해심이 생기는데 하나의 영상으로 이렇게 깊이있게 이해할수있는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뷰엉이님 영상으로 우주에 대해서 더 호기심을 갖게 되었어요 분명 영화리뷰 영상이었는데 끝나고보니 과학영상이었다는ㅋㅋㅋ 영상하나 만들려고 얼마나 많이 찾아보고 공부하고 제작하셨을지… 거기다 쉽게 설명까지 해주시니까요❤ 그래서 최근 사태에 더 분노하게 되더라고요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저두 우주 관심도 없었는데 영화리뷰 검색했는데 리뷰엉이님 나와서 우주 신기해서 한편 봤는데 너무 재밌어서 그날 한 15편 봤더니.. 이제 리뷰엉이님 우주이야기만 기다리고있어요 ㅋㅋ 소름 돋는게 리뷰엉이님 우주이야기 보고 있는데 윤하님 사건의 지평선 살별 이런 노래 나와서 얼마나 반갑던지 ㅎㅎㅎㅎㅎㅎ
과학하고 앉아있네 + 안될과학 + 리뷰엉이 컨텐츠 다 보고 있는데요 모두 재미있고 유익하며 각각 개성있는 컨텐츠입니다. 어디에선가 다룬 주제를 중복해서 다뤘다고 의미 없는게 아니에요 그리고 다들 아시겠지만 비전문가 입장에서 이 바닥 지식은 매일매일 리셋되기 때문에 들었던 얘기 다시 들어도 재밌고 다른 예시와 설명을 들을 수 있어서 좋은것이에요 ㅎ 앞으로도 좋은 천문학.. 아니 영화리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년전인가 EBS에서 한국 과학자분이 나오셔서 왜 대부분의 은하가 나선형을 이루는가에 대해서 설명하시고 실험하고 계신 시뮬에 대해서 말해준 강의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당시 친구집에서 정말 재밌게 봤었는데 다시 찾아보려니 너무 어렵더군요... 이에 대해서 한번 다뤄주실 수 있나요?
고마워요. 우주론의 중요 주제들이 다시 다루어지고 거기 관측적 사실과 해석들이 추가 되는 것이 마치 음악에서 고전이 다양한 연주자나 지휘자에게 재해석되면서 되풀이 연주되고, 원곡이 리메이크되면서 새로운 감흥을 주는 것 같은 느낌을 주네요. 늘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말투도 매력적이세요~~
과학에 대해 무지한 사람에게도 우주의 경이로움이란 호기심을 자극할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무한에 가까운 광활함 앞에서 인간의 문명은 하찮게 느껴지면서도, 이 정도까지 밝혀내고 지금 이 순간에도 더 알아내고자 골몰하는 분들이 있다는 것에 대해 존경심이 들기도 하고요. 알고 싶지만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알고 있어도 더 궁금해하는 사람들을 위해 훌륭한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암흑물질 후보 엑시온 도 강한 자기장과 만나면 빛으로 변하는데 이거도 아닌가 보군요 덕분에 암흑물질에 대해 잘배워 갑니다 다음에 나올 암흑에너지 를 어떻게 설명하실지 너무 기대가 됩니다 ㅎㅎ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는 서로 이름만 비슷 하고 많이 다른데 어떻게 설명해주실지 너무 궁금합니다!!!
리뷰엉이님, 암흑물질의 특징을 보다보니 문득 드는 생각이 있는데, 고차원 물질과 특징이 비슷한 것 같아요. 1. 서로 다른 차원의 물체를 볼 수 는 없다. 2. 서로 다른 차원간의 중력은 적용이 된다. 3. 다른 차원이기에 총알 은하단에서 서로 충돌없이 통과하였다. ㅋㅋㅋ요케 생각하면 뭔가 재밌네요
드디어 돌아오셨군요 ㅠㅠ 영화 리뷰때부터 지금까지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 항상 제가 제일 좋아하는 유익한 우주영상 고맙습니당 그리고 이 영상을 보고 궁금한게 생겼는데 리뷰엉이님은 귀신의 존재를 믿나요 ? 대부분 과학쪽 연구가들은 안믿는다 등의 이야길 많이 하잖아요 ? 궁금하네요 ㅋㅋ
참고문헌 (설명란 5000자 제한때문에 댓글로 적는다 뷰엉.)
(Panek, Richard (2011). 《The 4 Percent Universe: Dark Matter, Dark Energy, and the Race to Discover the Rest of Reality》. 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Chandra/Field Guide to X-ray Sources”. 《Coma Cluster》.
“NASA / Focus on the Coma Cluster”.
“2MASS Atlas Image Gallery: Galaxy Groups and Clusters”. Infrared Processing and Analysis Center.
Colless, M (2001). 〈Coma Cluster〉. P Murdin. 《Encyclopedia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Bristol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Zwicky, F. (1933). "Die Rotverschiebung von extragalaktischen Nebeln" [The red shift of extragalactic nebulae]. Helvetica Physica Acta. 6: 110-127.
Bibcode:1933AcHPh...6..110Z.
Zwicky, F. (1937). "On the Masses of Nebulae and of Clusters of Nebulae".
The Astrophysical Journal. 86: 217-246. Bibcode:1937ApJ....86..217Z.
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694512.html
www.sciencetimes.co.kr/news/%EC%9A%B0%EC%A3%BC%EC%97%90-%EA%B0%80%EB%93%9D%ED%95%98%EC%A7%80%EB%A7%8C-%EB%AF%B8%EC%8A%A4%ED%84%B0%EB%A6%AC%ED%95%9C-%EC%95%94%ED%9D%91-%EB%AC%BC%EC%A7%88/
Some details of Zwicky's calculation and of more modern values are given in
Richmond, M., Using the virial theorem: the mass of a cluster of galaxies, retrieved 10 July 2007
Freese, Katherine (2014). The cosmic cocktail: Three parts dark matt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A history of dark matter". Ars Technica. Retrieved 8 February 2017.
Babcock, Horace W. (1939). "The rotation of the Andromeda Nebula".
Lick Observatory Bulletin. 19: 41-51.
Babcock, H, 1939, “The rotation of the Andromeda Nebula”,
Lick Observatory bulletin ; no. 498
Freeman, K.C. (June 1970). "On the Disks of Spiral and S0 Galaxies".
The Astrophysical Journal. 160: 811-830. Bibcode:1970ApJ...160..811F.
Overbye, Dennis (27 December 2016). "Vera Rubin, 88, Dies;
Opened Doors in Astronomy, and for Women". The New York Times.
"First observational evidence of dark matter". Darkmatterphysic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13.
Rubin, Vera C.; Ford, W. Kent, Jr. (February 1970).
"Rotation of the Andromeda Nebula from a Spectroscopic Survey of Emission Regions".
The Astrophysical Journal. 159: 379-403. Bibcode:1970ApJ...159..379R.
Bosma, A. (1978). The distribution and kinematics of neutral hydrogen in
spiral galaxies of various morphological types (PhD Thesis).
Rijksuniversiteit Groningen.
Rubin, V.; Thonnard, W.K. Jr.; Ford, N. (1980). "Rotational Properties of 21
Sc Galaxies with a Large Range of Luminosities and Radii from NGC 4605
(R = 4kpc) to UGC 2885 (R = 122kpc)". The Astrophysical Journal. 238: 471. Bibcode:1980ApJ...238..471R.
Randall 2015, pp. 13-14.
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3040&cid=62801&categoryId=62801
www.britannica.com/science/electromagnetic-spectrum
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31804&cid=67212&categoryId=67214
imagine.gsfc.nasa.gov/observatories/satellite/wmap/weighing.html
wmap.gsfc.nasa.gov/universe/uni_matter.html
Croswell, Ken (2002). The Universe at Midnight. Simon and Schuster. p. 165.
C. Alcock et al., The MACHO Project: Microlensing Results from
5.7 Years of LMC Observations. Astrophys. J. 542 (2000) 281-307
P. Tisserand et al., Limits on the Macho Content of the Galactic Halo
from the EROS-2 Survey of the Magellanic Clouds,
2007, Astron. Astrophys. 469, 387-404
Graff, D.S.; Freese, K. (1996). "Analysis of a Hubble Space Telescope
Search for Red Dwarfs: Limits on Baryonic Matter in the Galactic Halo".
The Astrophysical Journal. 456 (1): L49-L53.
arXiv:astro-ph/9507097. doi:10.1086/309850. S2CID 119417172.
Najita, J.R.; Tiede, G.P.; Carr, J.S. (2000). "From Stars to Superplanets:
The Low-Mass Initial Mass Function in the Young Cluster IC 348*".
The Astrophysical Journal. 541 (2): 977-1003.
arXiv:astro-ph/0005290. doi:10.1086/309477. S2CID 55757804.
Paul Gilster (22 April 2009). "Ubiquitous Brown Dwarfs: A Dark Matter Solution?".
centauri-dreams.org. Retrieved 10 January 2019.
Katherine Freese, Brian Fields, and David Graff,[1] Limits on stellar
objects as the dark matter of our halo: nonbaryonic dark matter
seems to be required.
Brian Fields, Katherine Freese, and David Graff,[2] Chemical
abundance constraints on white dwarfs as halo dark matter,
Astrophys. J. 534:265-276,2000.
Arnon Dar, Dark Matter and Big Bang Nucleosynthesis.
Astrophys. J., 449 (1995) 550
Wayne Hu (2001). "Intermediate Guide to the Acoustic Peaks and Polarization".
Bernard Carr (2020). "Primordial black holes from the QCD epoch:
Linking dark matter, baryogenesis and anthropic selection".
arXiv:1904.02129 [astro-ph.CO].
earthsky.org/astronomy-essentials/definition-what-is-dark-matter/
Newton highlight - Dark Matter
horizon.kias.re.kr/7795/
www.sedaily.com/NewsView/1HTWCRA219
terms.naver.com/entry.naver?cid=40942&categoryId=
32247&docId=1113794
www.ibs.re.kr/cop/bbs/BBSMSTR_000000000735/
selectBoardArticle.do?nttId=14407
ko.wikipedia.org/wiki/%EB%B3%BC%ED%94%84%EA%B0%95_%ED%8C%8C%EC%9A%B8%EB%A6%AC
www.sciencetimes.co.kr/news/%EC%9A%B0%EC%A3%BC%EC%9D%98-%EC%9C%A0%EB%A0%B9-EC%95%94%ED%9D%91%EB%AC%BC%EC%A7%88%EC%9D%84-%EC%B0%BE%EC%95%84%EC%84%9C/
arxiv.org/abs/astro-ph/0312273
arxiv.org/abs/astro-ph/0309303
Fukuda, Y.; 외. (1998). “Measurements of the Solar Neutrino Flux from
Super-Kamiokande's First 300 Days”. 《Physical Review Letters》
81 (6): 1158-1162. doi:10.1103/PhysRevLett.81.1158.
en.wikipedia.org/wiki/Bullet_Cluster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 박성찬 - horizon.kias.re.kr/19313/
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895483?sid=105
www.dongascience.com/news.php?idx=20107
www.hani.co.kr/arti/PRINT/305555.html
wwwmpa.mpa-garching.mpg.de/galform/virgo/millennium
arxiv.org/abs/1112.3960
arxiv.org/abs/1404.7661
arxiv.org/abs/1106.2476
www.ksakosmos.com/post/%EC%82%AC%EC%8B%A4-%EC%95%94%ED%9D%91%EB%AC%BC%EC%A7%88%EC%9D%80-%ED%95%84%EC%9A%94-%EC%97%86%EB%8B%A4-%EC%88%98%EC%A0%95%EB%89%B4%ED%84%B4%EC%97%AD%ED%95%99
www.dongascience.com/news.php?idx=29026
www.sciencetimes.co.kr/news/%EC%95%94%ED%9D%91%EB%AC%BC%EC%A7%88%EC%9D%80-%EC%97%86%EB%8B%A4%EC%B2%9C%EC%B2%B4%EB%AC%BC%EB%A6%AC%ED%95%99%EA%B3%84%EC%97%90-%EC%97%84%EC%B2%AD%EB%82%9C-%ED%8C%8C/
@detailed 너도 병이다 … 책 한번도 안앍어 봤구나? 보통 책들고 참고 문헌에 대해선 적지 어디 어디를 했다까지 안적음 물론 자세히 적어논 것들도 있지만 그정도 까지 하지 않는 게 보통 이란다
@Tany Knjey 병이냐? 참고자료 적는게 그리 아니꼽냐? ㅋㅋ 그 머냐 ai카피캣들 지지자여?
문헌 쭈욱 적어노면 똑똑해 보이는지 아냐??ㅋㅋㅋㅋ
형이 짱이야 진짜 ❤️
미친ㅋㅋ 리뷰아티클을 썼네그냥
설명란에 적기엔 칸이 모자랄 만큼 공부를 하고, 어떻게 설명할지 연구하고, 자료를 짜고 대본을 쓰고, 영상을 만들고, 녹음하고 자막 넣고.... 이렇게 대략 생각해봐도 너무 많고 어려운데 그걸 매 영상마다 하고 계셨네요.
항상 영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그 동안 리뷰엉이님 영상 보면서 졸기도 하고, 잠들때도 있었는데 이렇게 귀한 영상을 그렇게 편하게 보고 있었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떠난 적 없으셨으니까 돌아오셔서 감사하다고는 하지 않겠습니다. 꾸준한 영상 감사합니다.
@박범준 댓글 목록 어떻게 보는거에요??
당연히 직원들 졸라 많겠죠..
안녕하세요! 제가 답변을 드리기 전에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유튜브 영상 제작은 정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과정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자료 조사와 대본 작성, 녹음, 편집 등의 작업은 특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리뷰엉이님이 매번 업로드해주시는 유튜브 영상들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영상들을 보면서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보는 동안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과 설명으로 매우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영상을 보는 동안 잠이 오기도 한다는 것은, 리뷰엉이님의 영상이 그리 못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우 편안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과 설명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리뷰엉이님께서는 항상 꾸준하게 영상을 제작해주시고, 그 영상을 통해 많은 도움을 주시기 때문에 정말 감사한 마음으로 항상 지켜보고 있습니다. 리뷰엉이님의 더 많은 활동과 영상을 기대하며, 항상 건강하시고 좋은 일만 가득하시기를 바랍니다!
진짜 이 배경음악 너무좋고 잠들기에도 딱임 신비로움ㅋㅋㅋㅋ
@SeJoong 물타기의 민족이라 그럼 물 한번 타면 머리 깨지더라 수준 초딩보다 못한애들이
잘 보고 있습니다. 과학 관련 내용에 흥미가 있었지만 현생이 바빠 잊고 살았습니다. 리뷰엉이님 덕분에 우주와 과학에 대한 흥미가 다시 생겼고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
ㄷㄷ
도네 무엇?
리뷰엉이님의 양자역학 영상을 처음 보고 리뷰엉이님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챙겨보던 꿈 없던 고등학생이 물리학자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물리학자가 되기엔 어려울지 몰라도 덕분에 아무생각 없이 살던 때와 달리 꿈을 가지고 전보다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 하나로 이렇게 삶을 바꿀 수 있게 한 리뷰엉이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길천사 안되더라도 해서 행복하면 됐슈... 뭐 있간디
노벨상 갑시당~~~🎉
@길천사 패배주의ㅋㅋ
@길천사 넌 뭘 해도 안되니까 그런 생각만 하는 거야
근데 진짜 영상을 만들면서 자기가 만들려고 하는 영상에 대해서 논문을 읽고 책을 사면서 읽고 분석,해석하면서 까지 이렇게 친절하고 열심히 분석해주는 사람이 있는게 너무 감사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과 부분중에 물리를 전공하면서도 양자역학을 배우고 있는데 이렇게 깊이 있고 이해되는 영상은 너무 도움이 되고 제가 배웠던 지식과 영상의 지식을 합쳐서 더 나아가게 해주는 아주 영양분있는 영상을 제공해주시는걸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책을 읽어도 여러 책을 읽어야 이런 깊이있는 이해심이 생기는데 하나의 영상으로 이렇게 깊이있게 이해할수있는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소 암흑 물질에 대해서 정말 궁금했는데 영상에서 이해하기 쉽게 다뤄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부엉씨
문외한인 사람을 40분 가까이 영상에 집중하며 보게하는 리뷰엉이님의 힘.. 참고문헌 리스트 보니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네요. 고생많으세요~ 항상 잘 보고 있어요!! 👍🏻✨
안녕하십니까? 댓글이없는곳에 번개처럼 나타나는 무플방지위원회입니다. 귀하의 말씀에 댓글이 없어 기분이 불쾌하실 것 같아 무플방지위원회에서 찾아드렸습니다. 저희 무플방지위원회는 언제나 함께합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시길 기원하면서 댓글입력하고갑니다.^^
-무플방지위원회일동-
(。・ω・。)つ━☆・*。
⊂ ノ ・゜+.
しーJ °。+ *´¨)
이과생으로서 지금까지본 리뷰엉이 뿐 아니라 모든 과학영상 중 지존 최고네요. 38분을 시간가는줄 모르고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리뷰엉이는 딱 입문용으로 ㄱㅊ더라
문과생이 이해하기에도 너무 좋은 채널이에요! 설명 굿
@si8 네
38분짜리인거 지금 처음 알음 ㅋㅋㅋ 20분짜리인줄 알고 좀 기네? 이랬는데
이과생을 여고생으로 본 내 머리 이상한거임?
거의 20년 전에 은하천문학(타 전공 선택 수업) 시간에 배웠던 은하 회전과 은하 질량 분포 캬 진짜 오랜만에 잘 봤습니다. 카미오칸데도 20년 전에는 엄청 새로운 관측 시설이었는데 세월이 참... 우주 관련된 과학은 참 세월을 녹이는 사업.
리뷰엉이님 영상으로 우주에 대해서 더 호기심을 갖게 되었어요 분명 영화리뷰 영상이었는데 끝나고보니 과학영상이었다는ㅋㅋㅋ 영상하나 만들려고 얼마나 많이 찾아보고 공부하고 제작하셨을지… 거기다 쉽게 설명까지 해주시니까요❤ 그래서 최근 사태에 더 분노하게 되더라고요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참고문헌이 어마어마하네요... 유튜브 한편을 만들기 위해 들이는 고생과 수고가 엄청나십니다... 덕분에 잘 보고있어요 고맙습니다
저 자료들을
오르가즘을 느끼며
보고 있을
현대 과학자들에게 경의를..
너무 잘 봤습니다. 수많은 참고문헌을 보니 엄청난 정성을 들여서 만드셨다는 것을 느낍니다. 몇 번 더 봐야겠어요.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 !!! 덕분에 어렸을때부터 너무나 관심이 많았던 분야를 재미있게 배우고 즐길 수 있네요! 항상 너무 감사드리고, 영상 준비하시면서 틈틈히 건강도 챙겨주세요오오!
원래 과학영상 어렵고 관심도 없던 사람인데 리뷰엉이님 인터스텔라 영상들 본 이후로 관심사가 온통 우주로 바꼈어요 재밌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이언맨으로 시작된 나만의 영화유튜버가 과학유튜버가 됌 ㅋㅋㅋㅋㅋㅋ
아직 인터스텔라 영화 리뷰중인걸로 알고있습니다만?
과학도를 꿈꾸는 아이들이 늘어난다면 리뷰엉이 지분도 있을거임.
저두 우주 관심도 없었는데 영화리뷰 검색했는데 리뷰엉이님 나와서 우주 신기해서 한편 봤는데 너무 재밌어서 그날 한 15편 봤더니.. 이제 리뷰엉이님 우주이야기만 기다리고있어요 ㅋㅋ 소름 돋는게 리뷰엉이님 우주이야기 보고 있는데 윤하님 사건의 지평선 살별 이런 노래 나와서 얼마나 반갑던지 ㅎㅎㅎㅎㅎㅎ
과학을 영화처럼 ㅎㅎ
와~책 수십권을 읽어야 조금이해할수 있는것들을 일반사람들도 이해할수있게 잘 요약하셨네요 얼마나 많은 자료를 찾아 고생하셨을지 영상만봐도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공부많이 됐습니다.
과학에 흥미를 느끼게 해준 리뷰엉이님.. 영상의 소리만 들으며 출퇴근 하기도 한답니다. 복귀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부엉이님... 전 물리학자가 꿈인데 이런걸 보니 더더욱 재밌게 물리를 탐구하는 물리학자가 돼고 싶어지에요! 감사합니다!
와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어려운 과학을 쉽게 이해가능하게 설명해주시다니 이걸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공부를 하셨을지 모르겠네요
과학하고 앉아있네 + 안될과학 + 리뷰엉이 컨텐츠 다 보고 있는데요
모두 재미있고 유익하며 각각 개성있는 컨텐츠입니다.
어디에선가 다룬 주제를 중복해서 다뤘다고 의미 없는게 아니에요
그리고 다들 아시겠지만 비전문가 입장에서 이 바닥 지식은
매일매일 리셋되기 때문에 들었던 얘기 다시 들어도 재밌고
다른 예시와 설명을 들을 수 있어서 좋은것이에요 ㅎ
앞으로도 좋은 천문학.. 아니 영화리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년전인가 EBS에서 한국 과학자분이 나오셔서 왜 대부분의 은하가 나선형을 이루는가에 대해서 설명하시고 실험하고 계신 시뮬에 대해서 말해준 강의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당시 친구집에서 정말 재밌게 봤었는데 다시 찾아보려니 너무 어렵더군요...
이에 대해서 한번 다뤄주실 수 있나요?
은하 나선팔이 생기는 원인은 정확히 모릅니다. 현재 가장 각광받는 이론은 밀도파 이론으로 고속도로 교통체증처럼 별들이 서로 밀고 당기면서 생긴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왜 그런 모양으로 생겨야 하는지 잘 모릅니다
중력=만유인력-원심력이기에 중력은 일직선으로 서로를 당기는 것이 아닌 나선형으로 서로를 당깁니다.
그렇기에 성운이나 은하는 중력이 무지막지하게 쌔기에 이 현상이 도드라져 나선형이 되는겁니다.
은하단이 충돌할때 은하들의 중력이 급변하면서 생긴다는 설이 있음. 이쁘고 아름답고 신기하지만 알고나면 별거 아닌 현상임 ㅎ
어 이거 비문학에서 봤는데
@로미오 위치가 적절하게 생성되지 못한 별들의 위치 때문이 아닐까요? 대부분의 은하들이 나선형이고 원형의 은하도 엄연히 그렇게 보이는거지 나선형이라고 들었습니다.
큰거왔다...
기다리다 미칠뻔
진짜 잘때 항상 영화같은 과학
전체 셔플틀고 라디오처럼 들으며 자는데
몇달 듣다보니 새로운게 필요했음
엉이형 양자역학 처럼 코믹하게 더빙 많이 해주세요!
리뷰엉이 초창기부터봤는데 분명 영화리뷰유튜브였던거같은데 우주영화들로 시작해서 인터스텔라로 끝으로 이젠 천문학유튜브같다... 분명 영화 감상리뷰어였는데 이젠 공부하고 만드는기분
학교에서 과학시간만 되면 재미가 없어서 드러 누었었는데 리뷰엉이님을 알고 나서는 꽤나 재미있게 과학공부 하는것 같아요
항상 리뷰엉이님께 감사합니다.
집에서도 와서 자택근무를 하는데, 영상틀어놓고 일하면 집중도 되면서 들으면서 과학의 지식도 알게되고 쌓게 되는거 같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공부 하시고 요약하시고 전달 하신 리뷰엉님의 의지와 열정이....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보다 더 대단 하십니다. - 우주는 아무것도 모른다
-
고마워요. 우주론의 중요 주제들이 다시 다루어지고 거기 관측적 사실과 해석들이 추가 되는 것이 마치 음악에서 고전이 다양한 연주자나 지휘자에게 재해석되면서 되풀이 연주되고, 원곡이 리메이크되면서 새로운 감흥을 주는 것 같은 느낌을 주네요.
늘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말투도 매력적이세요~~
악재에도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버티시는 리뷰엉이형 화이팅입니다!
과학에 대해 무지한 사람에게도 우주의 경이로움이란 호기심을 자극할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무한에 가까운 광활함 앞에서 인간의 문명은 하찮게 느껴지면서도, 이 정도까지 밝혀내고 지금 이 순간에도 더 알아내고자 골몰하는 분들이 있다는 것에 대해 존경심이 들기도 하고요.
알고 싶지만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알고 있어도 더 궁금해하는 사람들을 위해 훌륭한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우주에 관심이 엄청 많은데요!! 리뷰엉이님 영상 보면서 지식을 조금씩 키워가고 있어요 히히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 만드시느라 수고하셨어요!!
아직까지도 계속 놀라움이 지속되고 있는데 이런 분이 어째 영화 리뷰부터 시작했는지 정말 놀랍습니다. 지금도 어렵기는 하지만 이전보다 암흑 물질에 대해 많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이젠 영화뿐만아니라 게임까지 설렵하는 과학유튜버 리뷰엉이님
과학에 흥미를 느끼게 된 계기 리뷰엉님 영상이 처음이에요. 최근 일련의 이슈들 힘내세요. 스스로 떳떳하다면 다 극복 가능합니다. 오늘도 잘봐요
암흑물질을 알고는 있었지만 인터넷에서 이렇게 깊은 양질의 지식을 얻을 수는 없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궁금했던 암흑물질에 대해서 쉽고 재밋게 알게 되었네요
한국어를 한국어로 통역듣는 기분?20년 강의를 했지만 리뷰엉님 발톱때만큼도 못가는 실력임을 느낌!!!이번 영상은 작심한듯 만든 영상이라서 그냥 할말없이 감탄중~!!!
눈높이에 맞춰 쉽고 흥미롭게 영상 만들어주는 리뷰엉님 기다렸어요🎉🎉이번 암흑물질에 대한 영상도 흥미롭게 잘 보겠습니다~!!
원래 댓글 잘 안쓰는데 참고문헌 보다가 영화 크레딧만큼 줄줄이 나오는거보고 씁니당,,, 어떻게 저만큼의 분량을 간결하고 재밌게 풀어내실 수 있는지,,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이전의 표절 논란때문에 힘든 시간 보내셨을텐데 다시 힘내어 컴백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응원합니다~!!
돈벌이는 못참노ㅋ
ㅋㅋㅋㅋ 개웃기네
@GENESIS 참 좋은 것만 따라하네여
@GENESIS 야 사칭
@GENESIS 사칭?
와 영상에서 정성이 느껴져요 안그래도 암흑물질 정리영상같은거 너무 보고싶었는데 어떻게 이렇게 딱................. 매번 잘 챙겨보고있습니다!!!!!!!!!!!!!!!!!!
따라 만들었다고 해서 리뷰엉이를 따라잡을만한 영상이 없음. 안될과학도 재밌지만, 재미는 리뷰엉이임. 그만큼 더 유익하고
암흑물질 후보 엑시온 도 강한 자기장과 만나면 빛으로 변하는데 이거도 아닌가 보군요 덕분에 암흑물질에 대해 잘배워 갑니다
다음에 나올 암흑에너지 를 어떻게 설명하실지 너무 기대가 됩니다 ㅎㅎ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는 서로 이름만 비슷 하고 많이 다른데
어떻게 설명해주실지 너무 궁금합니다!!!
정말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대충만 알던 이론을 세세하게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
이정도 문헌 참고면 진짜 영화리뷰 5개는 만들었겠네요.. 노력이 대단하십니다 감사합니다
리뷰엉이가 점점 영화에서 과학을 넘어 수면다큐 영역으로 가고 있다...
나에겐 이미 수면영역이여...
학교 동아리가 천체관련된건데 리뷰엉이 영상으로 천체관련된 지식들을 쌓아갑니다 감사합니다.
고1 과학 시간 때 암흑물질이 존재한다고만 배웠었는데 이렇게 영상을 보게 되니 되게 반갑네요 ㅋㅋ
정말 우주는 알면 알 수록 신기하네요~. 저처럼 평범한 일반인도 이해?[아마도...] 할 수 있도록 깔끔하면서도 재밌게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Your hard work is appreciated and applauded. Keep up the good work.❤
항상 감사합니다. 덕분에 저같은 일반인도 쉽고 재밌게 우주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50대 후반에 우주의 신비에
눈뜨게 해준 진정한 과학유튜버중 한명
리부엉이
화이팅~~
되게 신기하네요..근데 원자로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어떻게 질량을 가진 물질이 될 수 있는 건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리뷰엉이 님..... 대단하십니다 ^^*
이 어려운 것을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게 (이해 했다고 착각하게 하고 ^^;;) 하는 능력은, 아무나 할 수 있는게 아니지요 ^^
고맙습니다 ^^*
38분이 짧다고 느껴질만큼 흥미롭고 유익했습니다.
암흑에너지는 또 어떤것일까요?
다음영상이 벌써 기다려집니다.
인급동 8위 축하드려요ㅠ
영상하나에 이런 노력이 들어가시는데
너무 늦게 온 인급동이네요
존경합니다. 항상 흥미로운 내용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와 정말 영상의 퀄리티 놀랍네여 몇년전부터 봐왔지만 엉이님 클래스가 다름 ㅋㅋ
진짜 이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얼마나 공부하고 노력하셨을지 ㄷㄷ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자료의 질이 너무 좋은데다 이해하기도 쉬운설명. 컨텐츠가 너무 좋습니다.
유튜버 하려고 공부한게 아닌 공부하다보니 유튜버 된 리뷰엉이. 몇몇 이기적이고 시기하는 인간들때메 고생하셨지만 앞으로는 더 좋은일만 생길겁니다! 그리고 항상 선추천 후영상ㅋ
과학은 끝이 없군요, 재밌게 잘봤습니다.
형 양자역학 보고 많이 배웠어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많이 부탁해요^^
아 정말 1000년후에 과학이 얼마나 발전할지 궁금하다
어려운것을 어렵게 설명하는건 누구나 할수 있지만 어려운것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과학유튜버는 엉이님이 최고인듯
이젠 영화 제목으로 숨길 생각도 없네 ㅋㅋ 응원합니다. 과학 유튜버 리부엉이님.
리뷰엉이님 감사합니다 그동안 암흑에너지는 너무 멀고 어려웠는데 약간은 알게 된것 같아 기쁩니다
리뷰엉이님 화이팅~
리뷰엉님을 응원합니다
항상 유익하면서도 웃음나는 스토리 재미있습니다
학창시절에 리뷰엉이님이 과학쌤으로 계셨었다면 전 아마 과학자가 되었을겁니다~!!👍
정말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노력에 감탄했어요~ 많은 법칙들이 있는데 하나 하나 설명해주시면 우주를 이해하는데 더 많은 도움이 될꺼 같아요
이렇게 쉽게이해시켜주는 과학유튜버를 본적이 없네요 너무 흥미롭게 보고있습니다!! 힘내세요~
과학유튜버라고 하니 바로 하트주시네 ㅋㅋㅋㅋ
어허
리뷰엉이는 영화유투버 입니다
쉽 게이
어허! ㅇ..영ㅎ..화! 유튜버라구요!
리뷰엉이님 항상 유익하고 재밌는영상 넘 감사합니다❤❤❤
리뷰엉이조차 하익에 푹 빠졌었다는게 학계의 점심
리뷰엉이님, 암흑물질의 특징을 보다보니 문득 드는 생각이 있는데, 고차원 물질과 특징이 비슷한 것 같아요.
1. 서로 다른 차원의 물체를 볼 수 는 없다.
2. 서로 다른 차원간의 중력은 적용이 된다.
3. 다른 차원이기에 총알 은하단에서 서로 충돌없이 통과하였다.
ㅋㅋㅋ요케 생각하면 뭔가 재밌네요
그러네
리뷰엉님 이정도면 물리학 박사학위도 가능한거 아닌가요 ㅎㅎ
이걸 혼자 깡으로 마스터하는것도 그거대로 대단한데 이걸 또 이렇게 쉽게 설명해버리네... 리스펙....
Unknown Unknown. 우리가 모른다는걸 인정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과학의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늘 넘나넘나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김상욱 교수님이나 리뷰엉이님을 고등학교시절에 알았다면… 뭔가 제 진로도 바뀌었을 것 같네요 ^^ 늘 감사드려요~
제대로 공부해서 올린 내용 언제나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하고 지지합니다~힘내세요
퀄리티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드디어 러뷰엉이님의 새 영상!! 새로운 천문학 지식!! ㅠㅠㅠㅠㅠ
우주 미래 모형에 관한 주제 해주실 수 잇나여?? 공부하다가 궁금해져서 유튭에 검색해봤는데 다룬 사람이 별로 없는 것 같아서..!
역시 모든 과학현상을 쉽게 설명해주는 과학 유튜버 꼭 흥하세요~ ㅋ
암흑물질에서 들었던 적이 있는데..
진짜 아주 흥미로운 부분인거 같습니다.
역시 우주는 신비하고 흥미로운 부분이죠
분량 미쳤네 리뷰엉이 그냥 교수해도 될 듯 이 정도 공부량이면 ㅁㅊ
이제는 힐링 유튜버로 느껴지는 리뷰엉이 님 영상~~~
오....어려운데 재미있어.....킹뷰엉이 진짜 리스펙합니다 항상 양질의 영상 감사해요
감사합니다. 리뷰엉이님
엉이님 덕분에 이런 고퀄 영상을 보게 되네요.
다시는 도둑고양이 같은 일을 겪지 않길 바랄게요.
그리고 다음부턴 영화리뷰도 부탁드려요. ㅋㅋ
과학을 말하고 있지만 제목을 알 수 없는 어떤 영화가 담긴 리뷰엉이의 영상과 잘 어울리는 주제로군요! 귀환을 환영합니닷~!!
너무 재밌게 잘봤구요. 우리같은 초등학생에게 좋은 지식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언제나 리뷰엉이님을 응원합니다!
인간은 엄청나게 진화,발전을 했지만 아직 미지의 세계는 너무 크다는걸 다시한번 알게됐네요
시상에 이 방대하고 깊이있는 내용은 뭐당가!
평소 궁금하던 주제라 몰입해서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와... 저 많은 참고문헌을... 내용의 깊이에 감탄하고 영상 끝까지 시청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드디어 돌아오셨군요 ㅠㅠ
영화 리뷰때부터 지금까지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 항상 제가 제일 좋아하는 유익한 우주영상 고맙습니당
그리고 이 영상을 보고 궁금한게 생겼는데 리뷰엉이님은 귀신의 존재를 믿나요 ?
대부분 과학쪽 연구가들은 안믿는다 등의 이야길 많이 하잖아요 ? 궁금하네요 ㅋㅋ
저는 귀신을 여러차례보았고 이 우주의 미스테리와 관련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정도면 세계 최고 수준의 천문학 유투버 너무 재미있게봤어요
이제 대놓고 천체물리학 강좌를 영화리뷰라고 하는 리뷰엉이!
그걸 영화 한 편 본것 마냥 편안히 시청한 구독자!
정말 대단하십니다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에 대한 미지의 세계를 잘 정리해주셔 감사합니다
진공에너지 즉 블랙홀 과 암흑물질과의 연관성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라는데요 신비로운 우주~더욱 궁금해집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공기, 중력 이런 것도 전혀 보이지 않지만 위대한 분들이 알아낸 것 처럼 저런 암흑물질도 언젠가는 알게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ㅎㅎ
30분이 넘는 영상이 끝나지 않기를 바란건 처음.. 제발 암흑에너지까지 나와라 했는데 끝나서 너무 아쉽고 다음 암흑에너지편이 너무 기대됩니다!
끝없이 펼쳐져있고 아직도 모르는게 너무 많은 우주… 너무 아름답다
영상 준비하느라 고생많으셨어요 ㅠㅠ 그동안 맘 고생도 많으셨을텐데 잘 넘기시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많은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들 만들어주셔서 감사해요! 전부터 영상에 등장하던 이모티콘을 보아 로아를 하신다 추측은 했습니디만 카던 영상을 보니 찐으로 하시는군요!
영상 너무나도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이 긴데도 하나도 안지루하고 아주 유익하고 즐거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