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믿겠지만 "현실판" 무한동력입니다. 해외에선 발표 열흘만에 11만번 공유되며 올해 나온 연구 중 독보적 인기ㄷㄷ

공유
소스 코드
  • 게시일 2024. 03. 28.
  • 아칸소 대학의 물리학자들이 현실판 무한동력을 구현해냈습니다.
    그들은 말합니다 “ 에너지 하베스팅 회로를 칩에 넣음으로써 오염물질 없고 무제한 저전압 전력을 디바이스와 센서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2020년 10월에 발표된 연구로, 발표된지 열흘도 되지 않아
    해외에서는 페이스북 공유만 11만번 이상 이루어질 정도로 엄청난 대중적 인기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영향력 점수도 세계 최고 물리학 저널인 physical review letters가 일반적으로 한자리 수인걸 감안할때 10월 초 기준으로 235로 엄청난 수치를 보입니다.
    어떤 연구인지, 영상으로 확인하시길.
    감사합니다.
    - 내용출처:
    1. P. M. Thibado et al, “Fluctuation-induced current from freestanding graphene”, Physical Review E, 2020 (doi.org/10.1103/PhysRevE.102.0...)
    2. University of Arkansas, “Physicists Build Circuit That Generates Clean, Limitless Power From Graphene”, 2020
    3. Graphene Animation, University of Arkansas, 2020
    4. 조진우 외2, “4차산업혁명 초연결 기반을 만드는 기술, 스마트 나노센서 산업동향”, KEIT PD Issue Report, 2018
    5. 앤드류 맥아피, “포스트 피크”, 청림출판, 2020
    - BGM: Aakash Gandhi,Inception / Ugonna Onyekwe, The Heartache
    - Chapter
    0:00 무한동력 아이디어
    0:47 이 연구의 미친 인기
    1:37 무한동력은 가능한가?
    2:49 2차원 소재
    3:58 에너지 하베스팅과 센서
    5:23 연구 결과
    6:36 연구의 문제점
    7:38 연구 의의와 결론
    #무한동력 #2차원소재 #에너지하베스팅
  • 과학기술

댓글 • 1.2K

  • @softdragon
    @softdragon  3 년 전 +387

    ★ 논문 내용이 굉~장히 어렵습니다. 아래의 내용들에 대한 기초 지식은 있어야 뭔 말인지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원자 하나 층으로 된 그래핀이란 애가 휘어졌다가 돌아왔다가 하는 현상을 2012년에 발견했고 그러면 그렇게 움직이는 과정에서 회로 내에 전기가 유도되지 않을까? 라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회로를 만들었습니다.
    아칸소 대학에 따르면,
    원자들의 열적 진동(브라운 운동)으로 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것은 '리처드 파인만'에 따르면 불가능하다고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1950년 전기회로에 다이오드 하나를 추가함으로써 브라운 운동으로 부터 에너지를 수확(harvesting)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가 주장되었고 이 연구는 그게 이론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것, 그리고 그래핀을 이용하여 구현해낸 연구입니다.
    ★ 기초 영상들 ★
    A. 세상을 바꿀 2차원 소재 : krplus.net/bidio/kceXZJpkiZ_GdqA
    B. 에너지 하베스팅
    1. 성균관대 마찰로 충전 : krplus.net/bidio/mt6cZYOjZ4WRmqg
    2. 대기 속 수증기로 전기 만들기 : krplus.net/bidio/oK6wd5eCa2mlnXo
    3. 카이스트 물 한방울로 전기 만들기 : krplus.net/bidio/mruraZtlnX7VmHo
    4. 탈모치료: krplus.net/bidio/cbKofHmXf4rOooY
    5. 성균관대 옷깃만 스쳐도 충전 : krplus.net/bidio/pL6JnX-eqIvMmqQ
    C. 미친듯한 성장세, 센서 : krplus.net/bidio/m7eblmVzjHvSmXo

    • @del5827
      @del5827 3 년 전 +4

      센서 회사들좀 알려주세요~

    • @HolyDragon89
      @HolyDragon89 3 년 전 +1

      오오오 여태나왓던거 섞어찌게 드댜나왓넹
      요런게 많이나오다 보면 기술 반전 조금더되면 오우

    • @user-nk8bi5rp1n
      @user-nk8bi5rp1n 3 년 전 +1

      어려워 ㅜ ㅜ

    • @mirror735
      @mirror735 3 년 전 +1

      나만 빠큐가 많이보이나 히히...

    • @softdragon
      @softdragon  3 년 전 +9

      @@user-nk8bi5rp1n 저도 논문에 수식이 너무 많아 뭔 말인지 모르는 부분이 많아요.

  • @inventionclassroom.4012

    무한동력은 없을지라도..... 계속 연구하다 보면 거기에 가까운 효율이 뛰어난 기술이 개발 되겠죠...... 뭔가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내용이네요...

  • @Spector_Cheese
    @Spector_Cheese 3 년 전 +28

    진짜 지식의 경계에서 싸우시는 학자분들 존경합니다.....

  • @ert0419
    @ert0419 3 년 전 +317

    3:58 하이라이트

  • @season0487
    @season0487 3 년 전 +142

    그렇다.. 혁신이나 발전 창조는, 본질적으로 무작위적이다.. 요즘들어 이말을 공감하고 있습니다..

    • @gjan6423
      @gjan6423 3 년 전 +3

      진짜로 우산같은경우에는 1000천년도 전에 있던거랑 그렇게 차이도 없는데 그 어떻게 할 수 없는 구름위로 인공위성이 돌고 있다는게...

    • @kingxerxes7541
      @kingxerxes7541 2 년 전 +1

      @@gjan6423 1000k년?

  • @lqssfourloo5255
    @lqssfourloo5255 3 년 전 +16

    혁신의 발생은 무작위적일지 몰라도 그걸 가능케하는 이론을 쌓은 과학자들은 결코 무작위적이지 않죠. 작위적이라 하기도 애매하니. 실험 공학이 가시성이 높다보니 사람들은 이론에 관해선 그다지 신경쓸 겨를이 없는 것 같아요

  • @user-jh1nk3ke2t
    @user-jh1nk3ke2t 3 년 전 +7

    오랜만에 에스오디님 영상 보러왔는데 덕분에 매번 과학 관련 소식들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leeslikeness
    @leeslikeness 3 년 전 +8

    관련 전공 예비 대학원생으로써 영상 재밌게 봤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렵다고 하시는데 제가 진학하게 될 랩실의 주요 연구분야가 모두 관련이있어서 어느 영상보다 흥미로웠어요. 대학원 진학을 마음먹기 전에도 에스오디님 영상 많이 봤는데 진학이 확정된 요즘 보면 더욱 재밌습니다 ㅋㅋㅋ. 나도 저정도의 논문을 써볼수는 있을까 생각도 들구요. 처음 랩실 지원할때는 아무것도 몰랐지만 요즘 하나하나 배워가면서 보니 2D소재, 센서 등등 다 저희랩실 연구 분야와 겹치네요. 이제 막 학부 졸업하지만 막연한 자신감으로 대학원생활 잘해보겠습니다.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softdragon
      @softdragon  3 년 전 +1

      쉽지 않겠지만 좋은 논문 하나 낼 수 있길!

  • @user-ye8qb9xv3i
    @user-ye8qb9xv3i 3 년 전 +139

    4:28 가장 중요한 내용

  • @valarmorghulis2884
    @valarmorghulis2884 3 년 전 +111

    3:59 손가락으로 욕한다
    분명 두번째라고 하면서 손가락 두개가 아닌 가운데 손가락 하나면 핌.

  • @ninestories949
    @ninestories949 3 년 전 +24

    재미있는 내용 감사합니다. 무한동력이라기보다는, 이미 예전부터 사용했던 애트모스 시계의 현대판 버젼이라보면 되겠네요. 사람들이 듣기만 해도 미쳐 날뛰는 용어가 있죠. 무한동력, 절대음감 등등.. 실제 뜻과 관련 이론은 대중은 전혀 모르고 이해하려고하지도 않고 미디어가 만들어낸 허상에만 미쳐 날뛰는..

    • @Y-NOT-
      @Y-NOT- 2 년 전

      Ai분야도 비슷합니다. 허상에 사로잡혀 대단한것처럼 나타나지만 수많은 노가다로 좋은결과물이 나올때까지 수작업으로 반복수치를 조정하죠

  • @user-yc4yo9zw3l
    @user-yc4yo9zw3l 2 년 전 +2

    에스오디님 채널에서 소개되는 주제 하나하나가 새롭고 재밌는 주제네요 항상 감사하고 스트레스
    받으시지 마시고 영상 제작 해주세요!

  • @user-lj9dc2zl1q
    @user-lj9dc2zl1q 3 년 전 +3

    오늘 영상 너무 흥미로워여ㅠㅠ 공부 열심히해서 얼른 이런쪽 배워보고싶어요오오 좋은 영상 감사해욥!

    • @softdragon
      @softdragon  3 년 전 +2

      잘 봐주셔서 너무 고마워요 치즈님!

  • @user-Gamjatang
    @user-Gamjatang 3 년 전 +97

    정말 말도 안되는 일이지만 순간적으로 세상의 이런일이 무한동력 아재들의 모습이 스쳐지나갔읍니다...
    역시 그럴리 없군요 ㅋㅋㅋ

    • @yuchan063
      @yuchan063 3 년 전 +4

      애초에 중력을 이용해서 무한동력에너지를 만들어내는게 멍청한 생각이죠. 중력의 개념 자체를 잘못 이해하신 거에요. 중력으로 무한동력 에너지를 만들수 있으면 엄청 많은 에너지를 들여서 뭐하러 로켓을 쏴서 지구 밖으로 가겠어요. 물리를 조금이라도 배웠다면 뻘짓은 하지 않았을터인데....

    • @user-od6rs1hs5w
      @user-od6rs1hs5w 3 년 전 +5

      무한 동력은 아니고 무한에 가까운 동력 같은건 가능할지도요... 태양 전체에 다이슨 스피어 같은걸 두른다면 무한 비슷한 동력 같은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뭐... 그게 가능할 쯤 되면 태양 에너지는 더 이상 무한에 가까운 동력이 아니라 금방 사용되는 전지 같은 취급을 받을지도 모르겠지만요.

    • @CorrectionWaves
      @CorrectionWaves 3 년 전 +11

      생각에 가치의 경중은 없고 멍청한 생각도 없습니다.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 것이 무지인거.

    • @cmdeodo
      @cmdeodo 3 년 전

      @@yuchan063 누구보고 하는 말이에요?

    • @WhistlingBird
      @WhistlingBird 3 년 전

      @@user-od6rs1hs5w 그건 애초에 중력을 이용한 발전이 아니잖습니까 ㅋㅋㅋㅋ 다이슨 구를 두를려면 다이슨 구에 맞먹는 에너지 대안책이 있어야한다는게 함정...

  • @joonimism
    @joonimism 3 년 전 +7

    해외 과학 기사를 대부분 보신다니. 독해력이 얼마나 빠르신지 가늠조차 안되네요. 진짜 부럽 ㅜㅜ. 이번 무한동력 내용 진짜 흥미롭네요. 고맙슴다 😀

  • @sds3446
    @sds3446 2 년 전 +1

    무한에너지 구현보다 어려운것이 그 무한에너지를 무한하게 구현할 내구성 있는 물질입니다.
    결국 그 물질이 유한하면, 에너지가 무한해도 실현 결과값은 유한으로 귀결되니까요.

  • @user-zo1fu7ww4h
    @user-zo1fu7ww4h 2 개월 전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wm5oi7qj5d
    @user-wm5oi7qj5d 3 년 전 +18

    당장 충전이나 배터리로서의 역할은 못하더라도 배터리의 효율을 올려줄수는 있는것 같아요. 스마트폰을 만충시 하루사용이라고 하면 하루반 이나 이틀로 연장시켜주는정도?

    • @koabounga
      @koabounga 3 년 전

      그정도 전력이라도 나와주면 기적이죠기적

  • @MinxAri
    @MinxAri 3 년 전 +5

    우와 열역학 제2 법칙에 위배되지 않으면서도 실현가능한 무한동력이라니 신기해요. ㅎㅎ
    컴퓨터도 초창기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무식하게 크고 무식하게 비싸기만 했는데 현재는 휴대폰 하나가 초창기 컴퓨터의 성능을 수천, 수만배나 앞서잖아요. 그러니 이러한 무한동력 기술 또한 발전해서 세상에 혁신을 가져다 주면 정말 놀라운 세상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user-ws8ej2vg2d
    @user-ws8ej2vg2d 3 년 전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선생님

  • @Cest.La.Vie..
    @Cest.La.Vie.. 3 년 전 +2

    에너지는 transform 할 뿐 생성되지 않는다는 법칙때문에 무한동력까지는 아니더라도 energy harversting은 가능하다고 봅니다.
    저도 1990년에 페러데이와 멕스웰의 법칙을 기반으로 에너지 하베스팅을 디자인 했는데, 물리적인 진동을 공중에 날아다니는 불특정 주파수로 구현해야한다는 벽에 부디쳐서 아직까지도 이러고 있습니다. 베터리와 전원선으로 부터의 자유를 꿈꾸며 언제가는 해결되길 바라는데 제 머리로는 답이 안나옵니다. 모든 전자/전기 제품의 전력을 from the air에서 해결하는게 목표였죠.

  • @rainstar4268
    @rainstar4268 3 년 전 +25

    이렇게 또 재밌는 논문이 하나 나왔네요. 애석하게도 이 논문은 물리학 한쪽 분야에서 아주 로우레벨 수준의 지식을 알고 있어야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음... 일단 영상에서 등장하지 않은 것 중에서, 일반인분들이 곧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 것은 fig.6 입니다. 영상에서 잠깐 등장하는 수식들이 실제로 들어맞다는게 증명하는 것이 이 그래프에 다 들어 있습니다. 사실 아무리 수치해석적으로 세운다고 해도 실제 측정과 들어맞지 않으면 말짱 도루묵이거든요 ㅋㅋㅋ 무튼 그래프에서 나타나는 것들을 구분하면,
    1. 붉은 실선의 Numerical Theory는 식 13b를 매스매티카 프로그램에 넣어 계산한 것
    2. 검정 점선의 Asymptotic Theory는 식 22를 점근적 방법으로 나타낸 것
    3. 연두색 사각형의 STM experiment가 실제 STM 장비로 측정한 값
    이 세가지가 들어맞는 다는 점이 물리법칙을 위배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거 엄청 대단한거에요.
    단! 여기까지가 물리학 전공에서 보는 관점이고 실제 실용적으로 잘 쓸 수 있을지는 의문이긴 하네요. 영상 마지막에 언급하는 대로, 그래프의 수직축 단위가 pW입니다... 전압이 V단위에 비해서. p라는 단위는, n(나노)보다 더 아래인 단위라서. 매우매우매우 작습니다.
    하지만 다시 강조드리면 의미없는 행동은 아닙니다. 우리나라 고질적인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일단 '그래서 일상에서 도움 되는게 뭐야?'라고 곧바로 생각하셨다면 반성하세요. 일단 저게 증명이 되는 거 자체가 의미가 있기 때문이에요. 세상 돌아가는건 문제 없으니 만들어도 된다는걸 보장하기 때문이죠. 물론 저기서 반례가 나오지 않는 경우에.
    마지막으로 논문이 어려운 이유를 말씀드리면 이 논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 고전역학 (그 여러분들이 아는 공대 역학 아님)
    - 전자기학 (물리학 관점의 전자기학과 전자공학 내용도 어느 정도 알아야 할듯?)
    - 통계역학 (이 논문에서 가장 많이 쓰인 분야. 수치해석을 기본으로, Ito-Langevin equation, Fokker-Planck equation... 물론 저도 이름만 들어봤지 모릅니다.)
    흥미가 생긴다고요? 당장 물리학과 학부생 지원하고 대학원을 가시면 됩니다! ㅎㅎ
    그리고 에스오디님 항상 고맙습니다 ㅎㅎ 제목에 무한동력이라 이 뭔 강아지 소리인가 싶었는데 저도 신기하네요 ㅋㅋㅋㅋ

    • @softdragon
      @softdragon  3 년 전 +4

      전공자신가요. 아주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레인스타님 같은 댓글들이 많아지면 정말 좋을텐데...!

    • @ayh135
      @ayh135 3 년 전 +1

      단위가 피코와트였네요 ㅜㅜ 언젠가는 상용화되길

  • @torognr
    @torognr 3 년 전 +25

    요즘 최초 공개에 맛들리셨네ㅋㅋㅋㅋ

  • @blackwall1201
    @blackwall1201 3 년 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potted_stingray
    @spotted_stingray 2 년 전 +2

    궁금해서 논문 찾아봤습니다. 제가 물리학 전공은 아니라서 정확하게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논문 내용이 상용화되면 저전력 회로에서 무궁무진한 쓰임새가 있을 것 같습니다. 놀라운 연구 성과네요. 다만 말하시는대로 무한동력은 절대 아닌 것 같네요. 일단 그래핀을 STM에 갖다대면 constant distance mode에서 그래핀이 떨리면서 STM의 tunneling current가 같이 떨릴 것이니 이걸 다이오드에 연결시키면 다이오드에서 전력소모가 일어날 것이고 이걸 측정했다는 거네요. 전력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은 일반 저항을 사용했을 때보다 diode는 일정 전압 이상이 걸리면 전류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니 더 많은 전류를 소모하는건 자연스럽죠. 다만 말씀하시는 대로 반도체가 신호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더 큰 전력을 내는 건 절대 아닙니다. 증폭기 회로는 기본적으로 들어온 신호를 증폭시킨 복사본을 전원으로부터 끌어오는 겁니다.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bias point 즉 전류를 공급시키는 상태여야 하고 이는 곧 전력소모로 이어지죠. 어떻게 잘 해서 bias 전류보다 큰 전력을 냈다면(어렵겠지만..), 그럼에도 회로가 전력을 만들어내는 건 아닙니다. 증폭된 전력은 다 전원에서 오는 것이죠.. 그리고 이런 증폭기 회로는 트랜지스터가 꼭 필요한데 논문에는 트랜지스터의 t자도 없습니다. 그리고 논문 내용에서도 다이오드가 소모한 전력만큼 heat bath에서 동일한 양의 열이 공급되었다고 나오죠.. 출력 전압이 적다는 문제는 요즘에는 DC converter 전력효율이 최근 보고되는 논문의 경우 99%를 넘어버리니 큰 상관은 없을 겁니다. 다만 제가 보기에는 그래핀에서 전력을 끌어오려면 그래핀에 일정 전압 이상의 bias voltage(45V 정도)가 필요하는 것(즉 전원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전원이 또 필요한 아이러니..) 이랑 STM에서 구현한 것처럼 아주 가까운 거리의 전극을 어떻게 집어넣을 것인지가 상용화를 위한 도전과제일 것으로 보입니다.

  • @Matou-Sakura
    @Matou-Sakura 3 년 전 +37

    이제까지 영상중, 오늘 영상이 제일 이해하기 어려운거 같네요.....
    내 머리가 나쁜건가......OTL

  • @arbiter3023
    @arbiter3023 3 년 전 +141

    만년유망줔ㅋㅋㅋㅋ 진짜 공감 합니다 ㅋㅋ

    • @user-ms1fy5ds5h
      @user-ms1fy5ds5h 3 년 전 +15

      그래핀 진짜 전부 다 좋은데 양산이 안됨..A4한장짜리가 몇백만원ㅠㅠ

    • @junkman9010
      @junkman9010 3 년 전 +4

      나노튜브랑 그래핀가지고 막 말 많았지만, 대량 생산 시스템이 구축이 안되서 항상 비싼 제품으로 꿈의 소재라면서 말만 나오는 재료니.ㅎㅎㅎ

    • @user-re8hb6ln8r
      @user-re8hb6ln8r 3 년 전 +2

      뭐야 나랑 같은거 썻내

    • @bulane6863
      @bulane6863 3 년 전 +1

      와 현직에 계신 분들 이신가

    • @user-fm6jb4mn6h
      @user-fm6jb4mn6h 3 년 전 +4

      10년전 교과서에도 신소재로 들어있지않낰ㅋㅋ

  • @WonpyoKimwonpyokim
    @WonpyoKimwonpyokim 3 년 전 +1

    4:05 그래핀 , 4:22 , 5:05 센서가 유망 , 7:36 그래핀 반도체 , 8:05

  • @ej1769
    @ej1769 3 년 전 +1

    다이오드, 전극이랑 그래핀들 사이에서는 온도가 같을지언정 시스템 외부와의 온도가 같게 유지되는게 아니면 그래핀의 열적 운동 에너지를 다이오드로 전기에너지로 수확하고 외부 시스템의 상대적 높은 온도에 의해서 그래핀으로 다시 열에너지가 보충되서 에너지 수확이 계속 가능해지는 것 같습니다. 실생활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수확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지만 에스오디님의 고정 댓글에서처럼 브라운 운동으로부터 에너지 추출이 가능하다면 매우 작은 규모의 시스템에 펠티어 소자처럼 달아서 절대온도로 냉각하는데 응용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

  • @user-cf6lg4ts8i
    @user-cf6lg4ts8i 3 년 전 +28

    왜 저희한테 뻐큐를... ㅋㅋㅋㅋㅋㅋ

  • @oohjung2ng538
    @oohjung2ng538 3 년 전

    대 주식시대까지 고려해주시는 센스있는 영상마무리까지..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fuc12486
    @fuc12486 3 년 전

    잘보고있습니다

  • @edcvbnji9186
    @edcvbnji9186 3 년 전 +61

    4:01 thㅔㄴ서

  • @opuni545
    @opuni545 3 년 전 +90

    6:09
    학교에서 졸때 쌤이 갑자기 질문한거마냥 몸이 자동으로 굳음 ㅋㅋㅋㅋ

    • @kariapi1606
      @kariapi1606 3 년 전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mugonaolim
      @Amugonaolim 2 년 전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kaych308
    @kaych308 2 년 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young-ceo
    @young-ceo 3 년 전 +1

    와 꿀잼꿀잼 감사합니다

  • @novani1678
    @novani1678 3 년 전 +15

    어떤게 거짓이고 진실이 될지 아무도 모른다는 점이 가장 흥미롭네요

  • @vividwarm
    @vividwarm 3 년 전 +7

    우영미 후드 예쁘네요... 사고싶은데 한국을 갈 수가 없으뮤ㅠㅠㅠㅠㅠㅠㅠㅠㅠ

  • @user-zi7kk1lg1b
    @user-zi7kk1lg1b 3 년 전 +2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무작위적인 것에 더 끌린다고 합니다. 사람의 욕구를 불러일어키는 도파민의 분비가 일정 주기로 나타나는 것보다 무작위적으로 나타날 때 더 많이 일어난다고 하더군요.

  • @Lucky-qj7ux
    @Lucky-qj7ux 3 년 전 +1

    자네같은 사고의틀에 갖힌사람이 있기에 끝힘없이 긍적적이고 상상만의 조그마한 뭔가라도 있으면 풀어내려는 연구자가 있기에 발전 하는겁니다.

  • @jyheo756
    @jyheo756 2 년 전 +24

    비과학적인 내용이 많고 자의적해석이 주를 이루네요. 사소하지만 전기적, 물리적 해석시 반드시 추가해서 계산에 넣어야할 것들을 빼고 해석을 하니 황당한 결과가 나옵니다. 고등학교 과학 시간에서 조차도 콧웃음 칠만한 이야기를 하고 있으십니다.

    • @user-dx8cz5wg3j
      @user-dx8cz5wg3j 11 개월 전 +7

      비판은 쉽고 그걸빠져나오기란 몇배의 노력이 드는 법이죠. 비판이 너무 추상적이고 논리정연 하 지않네요. 말씀 하신 계산이뭔지 뻐진부분이 정확히 무엇인지 서술해주시면. 그때서야 제데로된 비판이 될것같네요^^

    • @user-eo4jd7ri1j
      @user-eo4jd7ri1j 11 개월 전

      그래핀과 회로 온도가 동일하다고 나왔는데 개인적으로 그래핀과 회로 온도가 미세하게 달라 열이 흐를 수 있다고 생각해요. 단지 온도차가 너무 작아 기계도 측정 불가능할듯.

    • @user-jz4ci1go1q
      @user-jz4ci1go1q 10 개월 전 +1

      이건 비판이 아닌 비난이네

    • @tax0787ond
      @tax0787ond 9 개월 전

      논문 계산식 보세요

    •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8 개월 전

      논문 쓸 능력도 안되네

  • @user-ir8pt6xh7w
    @user-ir8pt6xh7w 3 년 전 +3

    제가 고2라 물1을 배우는데 이론을 정확하게 배우자마자 영상을 보니 너무 재밌고 유익한것 같습니다 이런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v4kn3ud7n
    @user-hv4kn3ud7n 3 년 전

    영상 너무 깔끔하게 잘만드시네요

  • @AAAnn0
    @AAAnn0 3 년 전 +1

    차광릴레이처럼 소재 특성을 이용한 발명품 같아요.
    전자댐이나 테슬라코일처럼 주위 전자기를 유도해서 에너지를 뽑아내는 응폭 기술도 기도해 봅니당

  • @danielkan6792
    @danielkan6792 3 년 전 +3

    님짱 쵝오 과학자목소리

  • @user-vl4ux7cf2q
    @user-vl4ux7cf2q 2 년 전

    참 연구원 분들 대단하다는걸.
    이 채널 보면서 많이 느낍니다.

  • @brskh9059
    @brskh9059 10 개월 전 +2

    무한동력을 평생 연구한 자로서 질문합니다.
    한 자석은 고정, 반대자석이 회전하여 만나는 순간 서로달라 붙지 못하게 하는 장치가 있는지요.
    즉 센서 장치 또는 방해물질 등

  • @junkman9010
    @junkman9010 3 년 전 +8

    일단, 논문에서 조건에서 완전 진공에서 생긴 현상이긴한데.
    좀 더 봐야될듯...

  • @thecake7395
    @thecake7395 3 년 전 +61

    3:58 뽀큐❣

  • @luishan897
    @luishan897 3 년 전

    영상 잘 보고 가요

  • @thankyou8210
    @thankyou8210 3 년 전

    여전히 내용은어렵지만
    흥미롭고 항상 마지막멘트가
    기억에남아요
    혁신은본질적으로무작위적이다

  • @s-checkitislife-7954
    @s-checkitislife-7954 3 년 전 +19

    3:58 두번째가 왜 법규인지 수학적 증명 요청드립니다

  • @dr.ganggang
    @dr.ganggang 3 년 전 +95

    2:30 *TENET*

  • @user-el3eu3rn8b
    @user-el3eu3rn8b 3 년 전

    마지막 멘트가 압권이네요
    잘보고 갑니다 ~

  • @user-ph3wj4zg8o
    @user-ph3wj4zg8o 3 년 전 +1

    이 형은 머리도 똑똑하고 영상도 잘만들고 거의 완벽한 형이구만...뭔소린진 모르지만 그래핀이 앞으로 좋다 뭐 그런 거??? 그래핀 관련 주식을 좀 담아볼까..

  • @user-gcrlee
    @user-gcrlee 3 년 전 +6

    이 영상은 두 가지로 일축 됩니다.
    1. 말하는 거 하나하나가 너무 아픈데 다시 보게되요, 뼈아픈 사실이지만, 실상 논문과 팩트를 가져옴으로써 미래 기술과 과학에 대해 냉철한 시각을 가져줄 수 있습니다.
    2. 에스오디님의 영상을 꾸준히 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보면 볼수록 점점 근육이 늘어나고 있어요, 헛소리 하는 인간들과 교수님들(...어 그래도 사실이자나요;;;) 덕분에 스트레스를 근육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고 계신걸 볼수 있습니다.

  • @strange_quark1019
    @strange_quark1019 3 년 전 +7

    유튜브 시청시간 줄이면서까지 시청자들의 5분 22초를 아껴주는 그는 도덕책............ 감사합니다.

  • @rasrturrasrtur
    @rasrturrasrtur 3 년 전 +2

    열역학 법칙에 따라 무한동력은 불가능하다는걸 알고있었고 만약 무한동력이 생긴다면 영구자석등의 소재를 이용한 무한동력일줄 알았지만 새로운 방식을 개척해냈네요
    이게 미래에 어떻게 이용될지는 모르겠지만 아주 중요한 과학적 발명이 되는건 확실해 보입니다

  • @user-vc6zc2gd4w
    @user-vc6zc2gd4w 3 년 전 +1

    잘 보았어요. ^^

  • @user-sb8uw6qv2p
    @user-sb8uw6qv2p 3 년 전 +24

    3:58 두번째인데 ✌이게 아니라🖕이게 맞는거죠?ㅋㅋ

  • @duckinan5215
    @duckinan5215 3 년 전 +4

    에스오디같은 유튜버들을 옳다고 단정 지을수는 없지만 근거를 기반으로하며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하는데 있어서 훌륭하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인류애가 넘쳐나는 사람인것 같당ㅎ

  • @snuplay
    @snuplay 3 년 전 +2

    너무어려워서 쉬운 sod 좀 보고와야겟네요ㅜㅜ

  • @pushumanity
    @pushumanity 3 년 전

    이번내용은 마치 SOD그자체인 내용인것같네요 ㄷㄷ
    예전부터 다루시던 소재들이 다적용되다니~

  • @user-ef5gy7hq6m
    @user-ef5gy7hq6m 3 년 전 +31

    에디오스(잘못 쓴거 어이가 없넼ㅋ)가 쓴 제목이 아니었다면 거들더도 안봤을 제목의 영상 ㅋㅋㅋ

    • @user-js3sx4mu5r
      @user-js3sx4mu5r 3 년 전

      저도...이 형꺼

    • @hanmali
      @hanmali 3 년 전 +1

      에디오스 ㅋㅋㅋㅋ

    • @qkr12105
      @qkr12105 3 년 전 +1

      아디오스

    • @sluggard4627
      @sluggard4627 3 년 전 +1

      이런 제목은 이분이나 과학쿠키 같이 과학 영상을 그동안 찍어온게 아니면 반장난으로 여러분 무한동력을 찾아냈습니다 ㅋㅋㅋㅋㅋㅋ 몇월 몇일 ㄹㅈㄷ 핫클립 이런식으로 쓰이는 제목 인듯

    • @campsite97
      @campsite97 3 년 전 +1

      아디오스~~~

  • @illill4944
    @illill4944 3 년 전 +24

    3:58

  • @user-is2wc8zv7m
    @user-is2wc8zv7m 3 년 전

    그러네요.
    가능성을 찾는 일은 역시 과학자의 몫인 듯 합니다.
    그들과 유튜버님에게 영광을...

  • @ajeongkim7006
    @ajeongkim7006 3 년 전 +2

    저는 당연히 무한동력은 개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구의 자전 공전 중력 자기장이 무한 한데 인간이라면 이걸 이용할 수 있을거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꼭...

  • @jesusloveryeol
    @jesusloveryeol 3 년 전 +11

    2:30 인버전ㄷㄷ

  • @parkseungmin617
    @parkseungmin617 3 년 전 +3

    에스오디님 해외과학 기사를 어디서 어떻게 보시는지 알수있을까요?

    • @parkseungmin617
      @parkseungmin617 3 년 전

      피지컬리뷰, 에너지하베스팅, 분자수준 현미경

    • @softdragon
      @softdragon  3 년 전

      네이처나 사이언스 특히 추천

  • @user-cg8ts2so2p
    @user-cg8ts2so2p 3 년 전

    잘 봤습니다.

  • @user-vr6nk4wp2c
    @user-vr6nk4wp2c 3 년 전 +2

    정전기를 전기로 바꾸는 것처럼, 미세 전류를 이용한 자가발전 동력으로
    이해하겠습니다. 중력을 무한 동력으로 사용하는 장치가 개발되기를
    바래봅니다. 우주에서 중력이 거의 없는 곳은 없으니..

  • @DUSTSTAR-tt9eq
    @DUSTSTAR-tt9eq 3 년 전 +4

    제가 나중에 커서 반도체를 연구해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끌게요!

    • @Charlestamasulo
      @Charlestamasulo 3 년 전

      화이팅! 대한민국을 미일은 논문 하나로 꺾는 초강대국으로 만들어 주렴! ,,ㅎㅁㅎ,,

    • @leeslikeness
      @leeslikeness 3 년 전

      MOSFET 같은 혁신적인 소자도 우리나라 사람이 발명했으니 충분히 하실수 있습니다!

  • @user-yg7xh8tw9h
    @user-yg7xh8tw9h 3 년 전 +15

    3:58 뻐큐

  • @user-re1pe8kv2o
    @user-re1pe8kv2o 3 년 전 +1

    3:54 책 제목이 뭔지 알 수 있을까요?

  • @kkakdugi
    @kkakdugi 3 년 전 +1

    이렇게 거창하지않아도 집에서도 무한동력 간단히 만들수 있어요.( 물리적으로 물체끼리 마찰이 있는곳은 닳게되지만 )
    방법은 수조 수압차를 이용한 물레방아발전기 돌리면 간단 무한 수력발전이됩니다.
    물이 증발돼 없어지지만 않으면 무한으로 돌아가요.
    수조아래 강한 수압이 다시 수조위로 물을 밀어 올리는원리
    물레방아 발전기에서 나오는 전류는 베터리에 저장가능합니다.

  • @koo3647
    @koo3647 3 년 전 +18

    형 되게 업된 거 영상에서 느껴져 ㅋㅋㅋㅋ

  • @korea3407
    @korea3407 3 년 전 +21

    만년 유망주
    보얀 크르키치
    마르코 마린
    알렉산더 파투
    이승우ㅠ

  • @user-gu6ue9mz4j
    @user-gu6ue9mz4j 3 년 전

    예전에 어떤분이 에스오디님 '연구진' 발음이 찰져서 중독된다고 한 댓글을 봐서 그런가 영상 보면서 연구진 나올 때마다 어엇?! 엇? 하면서 다음 연구진은 언제...? 이러고 있네 ㅋㅋㅋㅋㅋ
    앞으로 자주 해주십쇼 연구진!! 연구진!! 연구진!! 연구진!!

  • @user-co4rr3wx2l
    @user-co4rr3wx2l 3 년 전

    봐도봐도 신기하네요 flexible graphene을 움직이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transducer네요. 논문을 읽지는 않았는데 직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그래핀을 움직이는데는 큰 에너지가 들어가지는 않는다는 가정이 맞다면 정말 어떤면에서 무한동력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 @user-kk8ld1do6o
    @user-kk8ld1do6o 3 년 전 +5

    그래핀을 대량추출 생산하는 방법이 있다면 엄청날듯...
    문과라 잘은 모르지만 깨진 유리잔이랑 열역학법칙 이야기하시는거 보고
    테넷 떠올랐네요. 말씀하신게 인버젼이랑 같은
    내용인듯

    • @shkang8058
      @shkang8058 3 년 전

      그거 대량 생산 해도 이동이 어려워서 상용화 안되고 있습니다.

    • @user-kk8ld1do6o
      @user-kk8ld1do6o 3 년 전

      @@shkang8058 대량생산은 가능한건가요? 이동이 어려우면 현지에 바로 자체생산하고 재료만 조달하면 될거같은데 현장사정을 모르니 함로 말 못하겠네요 그런데 대량생산이 안되서 문제인걸로 알고있긴한데

    • @user-kk8ld1do6o
      @user-kk8ld1do6o 3 년 전

      함부로

  • @user-ur7fz9qg1q
    @user-ur7fz9qg1q 3 년 전 +7

    아니 영상 보다가 갑자기 든 생각인데
    열역학 설명할때 무질서도 관련해서 쌤이 설명할때
    부모님한테 가서 열역학법칙에 따라 내 방이 어질러지는건 자연적인 현상이라고 하랬는데ㅋㅋㅋ
    뜬금없이 생각났는데 웃기네ㅎ

  • @caracer7772
    @caracer7772 3 년 전

    10년이면 충분히 핵심기술이 될만하다고 생각되네요. 혁신기술, 산업혁명때처럼 곧 변화가 크게 밀려올탠데 그게 어떤기술일지 참으로 궁금하네요. AI? 에너지혁명? 너무 기대되서 웃음이 납니다

  • @minggumalam4363
    @minggumalam4363 3 년 전 +1

    정확히 무슨말인지는 모르겠지만.
    결국은 그래핀이라는 소재가 핵심인거네요.
    그래핀 기술이 몇 세대를 뛰어야 그나마 실험가능한 연구인것 같아요

  • @ak.ak.2311
    @ak.ak.2311 3 년 전 +9

    3:56 이거 보면 이해됨

  • @beginnerbak1335
    @beginnerbak1335 3 년 전 +12

    무한동력 너무 기대되는 영상이다.. 롤드컵 보려다 바로 달려옴 ㅈㅈ

  • @Archi1208
    @Archi1208 3 년 전

    와 그래핀 대단하네요. 자동차 코팅제로도 이미 고가를 형성한 재료인데 ㄷㄷ 정말 매번 좋은정보 고맙습니다.

  • @user-mo8ji2ho9j
    @user-mo8ji2ho9j 2 년 전

    맞아요 외부 각종 잡에너지를 모으는 장치네요. 백퍼공감입니다.

  • @ohmytrance
    @ohmytrance 3 년 전 +3

    3:59 두번째?????

  • @jere121213
    @jere121213 3 년 전 +6

    오우...끽해봐야 카르노기관 아랫급 효율 만들어냄!일줄 알았는데 ㄹㅇ루다가 현실적인 무한동력이었네ㄷㄷㄷㄷ

  • @user-yk6eu2pq5h
    @user-yk6eu2pq5h 2 년 전

    구독 알림설정 완료!

  • @user-ms1mz3bw5m
    @user-ms1mz3bw5m 2 년 전

    그럼 이게 전력이 어느정도 되나요?
    컴퓨터 메인보드에 들어가는 수은전지 CR2032 이거 만큼도 안나오는 건가요?

  • @dxLabb
    @dxLabb 3 년 전 +3

    아 진짜 졸라 개짱입니다. 아 이거 관련으러 게속 저도 귱부하고 찾아보겠습니다
    이런회사눈 생기는대로 제돈을 직접 투자해야겟어요.
    아 이 채널운 어떻게보면 부자 만들어쥬는 채널같아요

  • @korea3407
    @korea3407 3 년 전 +77

    00:22 형 솔직히 ㅗ 이거 노렸지?ㅋㅋㅋ

  • @user-zb1ce2ib9s
    @user-zb1ce2ib9s 2 년 전 +1

    에너지하베스팅, 10여년전 고 이건희 전 회장님이 엄청 중요하게 생각했던 분야라고 카더라로 줏어들은적 있네요.떠다니는 전기를 모아(정전기)스마트폰을 충전없이 계속해서 쓸수 있게 만드는게 목표였다고..이 기술 개발의 파생이 무선충전기로 알고있습니다.

  • @offline2611
    @offline2611 3 년 전 +2

    하 드디어 길고길었던 에너지 하베스팅 연구가 결실을 맺는 순간이 오네

  • @user-qu2pi9ne1c
    @user-qu2pi9ne1c 3 년 전 +39

    무한동력 웹툰이 생각나는군

    • @tipy7155
      @tipy7155 3 년 전 +1

      이 댓 덕에 기억났다 ㅋ
      완결까지 안봤는데 보러가야지

    • @rdjfjk
      @rdjfjk 3 년 전

      띵작이지

  • @WildGru
    @WildGru 3 년 전 +7

    3:59 wtf

  • @createandbuildcorporation

    에스오디님, 목소리, 손짓, 설명 다 완벽하다. ㅎㅎ 공학도로서 존경, 멋져요!!!

  •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3 년 전 +1

    열에너지를 바로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만 있다면 그 자체가 바로 에너지 하베스팅이 될텐데 그런 시대는 언제 올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