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웹을 압도한다. NASA 기술력이 이미 수십 년은 앞서 있는 이유

공유
소스 코드
  • 게시일 2024. 04. 24.
  • NASA는 제임스 웹도 절대 보지 못할 엄청난 우주 망원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궁극의 망원경은 우주 초기의 별들을 보게 될 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되면 우주의 비밀이 밝혀지게 되겠죠.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softdragon
    - 내용출처
    1. Rachel Hoover, “NASA Tries New Ways, Fluid Materials to Build Giant Space Telescopes”, NASA, 2022
    2. 김한수, “액체로 만드는 초거대 망원경”, popular Science, 2022
    3. 김윤수, “달 분화구에 액체 담아 초고성능 우주망원경 만든다?”, 조선비즈, 2020
    4. Anna T. P. Schauer, “The Ultimately Large Telescope -- what kind of facility do we need to detect Population III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2020
    (doi.org/10.3847/1538-4357/abbc0b)
    5. Rebecca Johnson, “Texas Astronomers Revive Idea for ‘Ultimately Large Telescope’ on the Moon”, McDonald Observatory, 2020
    6. NASA, “Fluidic Telescope Experiment (FLUTE) to be Conducted Aboard International Space Station”, 2021
    - BGM:
    1. Revenger by Lux Inspira
    2. Zaphenath Paneah by Quinten Coblentz
    3. Leaving Earth by Stanley Gurvich
    - Chapter
    0:00 제임스 웹
    0:50 궁극의 망원경
    2:04 연구 결과
    3:05 연구의 필요성
    3:53 마무리
  • 과학기술

댓글 • 220

  • @user-se8cs5ti9n
    @user-se8cs5ti9n 년 전 +169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이 곧 인류가 하는일이라니 기분이 어떨지... 부럽다

    • @JJIDOL_GOD
      @JJIDOL_GOD 년 전 +26

      멜론머스크도 뭔가 인류가 하는일을
      할거 같이 읽어짐

    • @choi5263
      @choi5263 년 전 +1

      프샄ㅋㅋㄱㄱㄱㅋㅋ

    • @REEYOT
      @REEYOT 년 전

      그게 참 미국이 자랑하는 뉴스임. 미국의 선전효과인건데 다른 나라는 못 하게 하려고 막는거임

    • @JJIDOL_GOD
      @JJIDOL_GOD 년 전 +22

      @@REEYOT 중국이 하는것보단 나음

    • @zerocoke.zerodiabetes
      @zerocoke.zerodiabetes 년 전 +18

      @@REEYOT 다른나라는 못하게 하려고 막나요? ㅋㅋㅋㅋㅋ 애초에 할 생각을 가진 나라가 미국 말고 거의 없지 않나

  • @QuentinKim428
    @QuentinKim428 년 전 +2

    오늘도 잘 봤습니다아 오늘 주제 너무 흥미롭네요

  • @triebfeder
    @triebfeder 년 전 +30

    예전에 액체가 회전원통에 담아져 회전하면 포물면을 만드는 것을 알고 광경화성 수지와 회전 원통을 이용한 값싼 주경 제작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데, 그냥 우주로 보내면 되는 거였군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dy4830
    @sdy4830 년 전 +25

    우주에 액체 상태로 유지하려면 압력 온도 매우 일정하게 유지하고 영하 수십도에서 얼지 않고 수백도에서 끓지 않아야 하는데 물질 찾기도 어렵겠네요
    그래도 인류는 언제든 답을 찾아왔으니!

    • @song250677
      @song250677 년 전

      진공상태에선 끓는점이 1기압보다 낮아지긴 하겠네요.

    • @1BVR7
      @1BVR7 년 전 +1

      지구에서 하면되죠

    • @sdy4830
      @sdy4830 년 전 +2

      @@1BVR7 지구에선 아무리 커도 대기에 의한 굴절로 한계가 존재합니다

    • @kkoonn_
      @kkoonn_ 년 전

      확산도 막아야할 겁니다.

  • @user-wz8kl9nn7d

    이건 뭐 좋아요를 안누를수가 없는 그런 영상이네요! 역시!

  • @jibagmyo
    @jibagmyo 년 전

    잘 보고 갑니당 :>

  • @seungho6148
    @seungho6148 년 전

    와 진짜 소름 돋는내용이었다…항상 재밌고 유익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rq9m585
    @rq9m585 년 전 +6

    제 3세계 저소득층 어린이들을 위해 액체 안경 만들어서 시력 검사 없이 자기가 조절해서
    도수 맞추는 그런 안경 만들어 주기 운동도 있었는데..... 온도하고 몇가지 조건만 컨트롤 가능하면
    충분히 가능성 있는 사업이네...

  • @calilx2
    @calilx2 년 전

    오늘은 다른의미로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일본 만화의 우주형제에 나오는 샤론천문대는 아니더라도 다른 재밌는 내용이나왔네요 이런것도 가끔 좋다고 생각해요:-)

  • @TTOrrrrr
    @TTOrrrrr 년 전

    항상 님은 최고입니다.

  • @Net77
    @Net77 년 전 +2

    와 달에다가 망원경 만들면 우주 망원경 이면서도 수리도 가능할거고... 액체 렌즈가 아니더라도 초거대 망원경이 가능하네 ㄷㄷ
    근데 초점 계속 흘러갈텐데..
    같은곳만 바라보기가 쉽지 않음

  • @L45A1
    @L45A1 년 전 +2

    달의 크레이터나 용암동굴같은 지형들은 훗날 인류의 우주 진출에 있어서 엄청나게 중요한 요소가 되겠지요, 여러모로 쓸모가 많은 지형이죠

  • @dure5413
    @dure5413 년 전 +4

    허으으음... 물논 지구에서 직접 우주로 거대한 고체 금속 덩어리들을 올리는 것에 비해,
    우주에서 얼음 덩이를 수급하여 물로 바꾸고 그걸 이용해서 거대한 망원경을 만드는게 손쉬울지 모르겠지만...
    물을 담을 거대한 용기와, 물이 액체로 존재할 조건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가열과 기압... 그리고 그럴 에너지를 수급하려면...
    그것 역시 만만 찮게 엄청난 비용일거 같은데... 뭐 과학자들이 알아서 하겠죠

  • @user-rg7pq3uj3u

    달 온도 차이 극복하는
    액체가 있나요?
    증발과 결빙 극복이 가능합니까?

  • @Bong_Thing
    @Bong_Thing 년 전 +2

    에스오디님 영상만 봐서 모르겠는데 이런 뭔가 웅장하고 신비한 영상에서 에스오디님 목소리가 너무 찰떡인듯 ㄷㄷ 귀에 쏙쏙 박힘

  • @ptahoteff
    @ptahoteff 년 전 +8

    나사가 물안경을 만들었구나!

  • @lehoonlee
    @lehoonlee 년 전 +1

    인류는 이미 우주비밀을 알고있고
    찾았을지도 모릅니다,
    문제는 자기가 알고있고
    찾았다는 것 그자체를 모르거나
    너무 쉬워 애써 그건 아닐거라
    외면하고 있는지도 모르지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chogathi
    @chogathi 년 전 +2

    인터스텔라가 명언 하나는 참 기깔나게 잘만들었어 ㅋㅋㅋ

  • @user-nf3dh8by3f

    우주의 극저온에서 액체 유지 가능과 달과 같은 대기가 없는 천체에서의 급격한 온도변화.. 두가지를 만족할만한 액체를 찾을수 있을까요?
    또한, 빛을 99.9999% 이상 투과하거나, 99.9999%이상 반사해야 빛을 모을수 있을텐데…
    조건을 만족할만한 물질이 있을까요?

  • @user-bz2nu3jt7o
    @user-bz2nu3jt7o 년 전 +2

    액체렌즈 들어본 적은 있어도 액체렌즈를 존나게 확대해서 망원경으로 쓸줄은 ㅋㅋㅋㅋ 혁신적이네요.

  • @kkoonn_
    @kkoonn_ 년 전

    회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테일러-쿠엣 불안정성의 억제라던지 우주상에 노출될 경우 일어날 확산으로 인한 액체 손실 등이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 @cover2067
    @cover2067 년 전

    궁금한게있는데 누구든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상초기에 우주초기 물질들의 팽창속도가 너무빨라서
    초기의 빛들은 아직 지구에 닿지도 않았다고 하는 문구가 있는데요,
    그럼 물질들이 빛보다 빠르게 팽창해나갔다는 건가요??
    이 경우가 특별해서 인지,,, 어떤 물질이든 빛보다 빠를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렇다면 광속 불변의 법칙이란것은 물질에 대한 법칙이 아니라 관측'자' 혹은 생명체에만 국한되는 부분인가요?

    • @softdragon
      @softdragon  년 전 +1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서 빛보다 빠른 물질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빛의 속도보다 빠를 수 없다는 것은 물질에 국한된 것입니다.
      공간 그 자체의 팽창 속도는 빛 보다 빠를 수 있습니다. 공간은 물질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cover2067
      @cover2067 년 전

      @@softdragon 아....이해가 되었습니다
      공간이란것 또한 원래 있던게 아니라 팽창한것이라니....

  • @nowanthandle
    @nowanthandle 년 전

    100미터 크레이터에 액체를 어떻게 운반하나요 또 그걸 저을 시설은 어떻게 운반할것이며 우주조건에 만족하는 액체는 어디있으며 물을 휘저으면 굴절은 어떻게 시키겠다는건지..

  • @cosmicraccoon2206

    근데 달의 무게가 그럼 늘어날텐데 중력이나 관성 등이 바뀌면서 초래할 변화는 없는건가요?

  • @beombom292
    @beombom292 년 전

    요즘 휴대폰이나 비전용으로 쓰는 그런 단순 Liquid 렌즈 방식이랑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완전 새로운 방식이네요.
    액체를 돌렸을 때, 물살이 생길 텐데 어떻게 해결할지 궁금하네요.

    • @kkoonn_
      @kkoonn_ 년 전

      회전한다고 무조건 물살이 생기는건 아니니깐요. 최대한 테일러-쿠엣 불안정성 같은 유동 불안정성을 최소화 하면서 층류를 유지하는 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점탄성 물질 같은걸 사용하면 어느정도는 억제 가능할 것 같습니다. 문제는 외부에 노출되면 증발이 일어날텐데 이게 어떻게 억제가 될지가 문제겠네요.

  • @DreamOn_TV
    @DreamOn_TV 년 전 +1

    달에 크레이터를 이용하여 만든다면 우주전체를 볼수 없죠
    달의 자전 방향으로만 보고 위아래로는 볼수 없겠죠
    그럼 위아래를 볼수 있는 망원경을 만들어야 하는데
    제작비용이 다른 망원경보다 저렴하면 가능하겠지만, 일단 달에 가야 한다는 것 자체가 쌀것 같아 보이지는 않네요

  • @user-wp9hj2mr2b

    우주를 알면알수록 서버를 부팅해서 만들어졌다고 생각이 드네요 시뮬레이션 ..
    그외에는 정상적인생각으로 납득이 안되어서 제생각이 잘못된걸까요?

  • @user-zf6gk3il1t

    액 체 망원경이라니 ??
    대단 해

  • @user-oi4pt1sc4d

    구독 👍🏻좋아요👍🏻꾹👍🏻~

  • @yoonserk
    @yoonserk 년 전 +2

    얼어버리거나 태양열에 증발하는것을 어떻게 막을지가 우선 개발되야할듯하네요

    • @harne_
      @harne_ 년 전 +1

      그 이전에 0기압에선 액체로 존재하지 못하는 것부터 해결해야 할 것 같네요

    • @user-km1sq5nx2d
      @user-km1sq5nx2d 년 전

      느그들이 하는 생각들 나사놈들 벌써 다끝냈다 걱정 ㄴㄴ

  • @campsite97
    @campsite97 년 전 +28

    행성 표면에서 고체가 되는 가열한 액체 금속을 빠르게 회전시켜 크레이터를 균일하게 코팅시켜 버리는 방법은 어떨까 싶네요... 액체를 계속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장난 아닐 뿐 아니라 태양풍 맞았다 하면 증발할 것 같은데.

    • @Bon0z
      @Bon0z 년 전 +4

      우리가 생각했던 방법들을 이미 과학자들은 전부 다 생각해봤겠죵ㅋㅋ

    • @tarkov_Lab
      @tarkov_Lab 년 전 +1

      오..,

    • @dure5413
      @dure5413 년 전 +19

      @@Bon0z 당신은 저 분이 생각한 방법을 떠올려 보기나 했습니까? 어디서 건방지게 과학자랑 자신을 동일시 쳐 하고 계신지? 같잖은게

    • @Bon0z
      @Bon0z 년 전 +10

      @@dure5413 어느 문장에서 과학자랑 동일시했죠ㅋㅋㅋ 같잖은게?ㅋㅋㅋㅋㅋ

    • @user-jq8wv8dd5v
      @user-jq8wv8dd5v 년 전 +13

      @@Bon0z 난 당신같은사람이 진짜 웃긴게,
      그들이 한것을 인류라고, 자기도 동기화되서 어깨뽕 된다음 다른사람 깔보는거 ㅋㅋㅋ 같잖다는소리에 발끈하는거보면 자존감도 겁나낮으신거같은데

  • @yoonhochoi5261
    @yoonhochoi5261 년 전

    안녕하세요 영상기다리기 넘 어려워요 ㅠㅠ 😭

  • @partyloi9796
    @partyloi9796 년 전 +2

    잡설길게하는데 진짜 원탑유투버 ㅇㅈ합니다

  • @hiheyyho
    @hiheyyho 년 전 +3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가 빛보다 빠르기 때문에 우주의 끝을 보는건 불가능하다고 들었는데 획기적이고 뛰어난 성능의 망원경이 있어도 빛이 도착하지 못하면 관측은 불가능한거 아닌가요?.? 아시는 분은 알려주세요!

    • @user-qe7fo8yq1r
      @user-qe7fo8yq1r 년 전 +2

      그냥 달리 생각할 것도 없이 님 생각이 맞습니다. 저도 같은 생각이고요.
      우주의 팽창은 빛보다 아득히 빠른 속도로 멀어지며, 빛조차도 그 끝에 닿을 수가 없으니 당연히 불가능하겠지요.
      만약에 우주의 끝에서 우주 안쪽으로 공간(?)이 만들어지면서 무언가 빛이 발생한다고 가정해본다면??
      그리고 그 빛이 우리가 있는 은하 쪽으로 향하고 있다면, 우리는 그 빛을 지금도 항상 볼 수가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우주 끝에서는 빛이 발생하지 않거나, 우주 끝(경계)에서 안쪽으로 빛이 새어 나가지 않음을 가정해볼 수 있겠네요.
      참고로 우주 나이가 137억 7천만 년이니까... 아무리 뛰어난 만원경(현 허블은 129억 광년까지 봄)도, 그 이상의 거리는 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주의 팽창 속도가 빠르니(관측할 수 있는 우주는 930억 광년의 규모), 137억 광년 보다 먼 거리에 있는, 가령 138억 7천만 광년은 1억 년 후에나 관측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1년에 1광년 이상밖에 볼 수 없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죠.
      그리고 빅뱅 그 시점의 빛도 우주 팽창 때 우주로 날아갔겠지만(빛의 이동 거리 137억 광년 거리), 빛보다 빠르게 우주가 생성되었기에(930억 광년)... 태초의 빛은 대부분 물질에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소멸되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user-qe7fo8yq1r
      @user-qe7fo8yq1r 년 전 +2

      그냥 우주 끝을 본다는 것은 포기하는 것이 맞아요.
      우주가 친절하게 팽창을 멈추고 기다려 준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우리가 보려면... 930억 년을 살아야 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혹은 기술이 발달해서 인간의 유체이탈을 컨트롤할 수 있고, 자유롭게 이동하는 기술적 체계가 있어서 빛보다 빠르게 우주 끝까지 갈 수는 있을 것 같아요. 다만, 그것은 본 사람만 알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유체이탈 순간에 영혼이 지각하는 현상이 우리 뇌에도 그 즉시 반영되는 정보(꿈처럼)의 기억인지 여부는 어디서 들어본 적이 없네요.
      물론 무당처럼 영안이 열린 사람들이 보는 것을 뇌과학+인공지능+빅데이터 처리 기술로 뚜렷하게 영상 정보로 재현하는 일이 미래에는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요..

  • @user-mt1xx5yn6k

    앞으로 텔레파시로
    우주를 보는 시대가
    곧 옵니다.
    그시점은 양자컴퓨터가 상용화 되는 시점 입니다.
    M87 블랙홀을 어떻게
    찍게 됐나요~?
    그이치와 똑 같습니다.

  • @-JP-TV
    @-JP-TV 년 전

    와...!

  • @annms8
    @annms8 년 전 +1

    대단하다, 발상의 규모가 다르구나.

  • @user-sh4iw2vq3s

    물!!! 획기적이다 하지만 굴절률을 안정화 시키려면 더 큰 난제가...

  • @user-eh5bs2un4v

    일정한 두께로 포물면을 유지하며 형태유지하는 방법을 찾는게 일이겠네요

  • @user-kf9im7kc3b

    4:24 역사의 순간을 함께 하고 있음을 알게 해줘서 감사합니다!!
    얼마전에 경주 놀러갔었는데 경주 맛집 소개같은 거 할일은 없겠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oftdragon
      @softdragon  년 전 +1

      저도 상경한지 오래돼서 몰라요...ㅋㅋㅋ

  • @erichong8368
    @erichong8368 년 전

    1초뒤 과거가 달인데 최초의 우주가 1딜 전이라면 뭘 만들어도 1초뒤 우주만 볼 수 있는거 아닌가요?
    1달뒤 우주는 존재 하지 않고 1초뒤 우주만 있다고 주장한다면 시간은 흐르지 않는 다는 주장을 뒷빋침 할뿐인가요

  • @alstjsdl76
    @alstjsdl76 년 전

    에스오디님
    자청님의 역행자 p167
    에스오디님 채널 언급해주셨어요
    좋아하는 채널이
    책 언급이 되니 기쁘네영ㅎㅎ!!

  • @user-gf8bd8wy8y

    제임스웹도 반사거울 망원경인가요?

  • @innomvation
    @innomvation 년 전 +4

    진짜 과학자들은 너무 창의롭단말이지

  • @mango______8188
    @mango______8188 년 전 +2

    빛이 도달 못한다면 아무리 큰 망원경이 생겨도 결국 보지 못하는거 아닐까요?

  • @Tangleguy
    @Tangleguy 년 전

    매일 영감받은 영상을 만드느라 힘드실 거 같습니다

  • @user-vj3qm4kj6m
    @user-vj3qm4kj6m 년 전 +1

    2050년대에나 가능하지 않을까...

  • @nodilalea8230
    @nodilalea8230 년 전

    기초과학의 중요성

  • @lsj6694
    @lsj6694 년 전

    근데 우주 최초의 빛보다 빠르게 우주가 팽창할수 있는건가요? 호기심에 물어봅니다.

  • @user-cr2lf5fh7s

    3분41초간 설레였다...ㄷㄷㄷ

  • @user-tr4ix6ro8e

    헐 밋기지 않아!

  • @fbcore
    @fbcore 년 전

    낮은 온도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게 관건이겠네요.

  • @user-gx2by6ik5h

    추운 우주에서 액체가 얼지않게 잘 해야 될텐데...1000년쯤 뒤의 지구의 과학기술이 기대된다

    • @ARTWALK300
      @ARTWALK300 년 전

      그때까지 살아 계셔야 할텐데 .....

  • @finedust999
    @finedust999 년 전

    그냥 달 뒷면 전체를 망원경으로 만드는 것이 더 현실적일지도 모르겠네요. 아무튼 대단합니다.

  • @user-fi9ft1zo6o

    달에가서 설치하는거 보다, 발사체가 더 빨리 발전할거 같은디요. 지금처럼 추력에만 의지하는 발사체라도 우주망원경도 경량화 될거고.. 나사나 특정 국가가 발전시킨 로켓도 상업회사들이 들어와서 경쟁에 들어가니, 발사체쪽이 더 빨리 발전하지 않을까... 뭐 그래봐야 최소 30년 최대 100년 걸리겠죠?

  • @user-wh6rm8ik9y

    액체 재질로 뭘 사용하는지가 중요한데 수은? 물?

  • @hitdrive
    @hitdrive 년 전

    근데 크리에이터에 뭐 돌 같은거 떨어지면 어떻게 되나요?
    뭐 당연히 제일 확률이 낮은 곳에 설치는 하겠지만..

  • @user-dg7lt9su3d
    @user-dg7lt9su3d 년 전 +1

    ♥♥♥

  • @sad_namnulbo
    @sad_namnulbo 년 전

    액체를 통해 비용이 절약될지 늘어날지 똑같을지 궁금하네

  • @illumina2883
    @illumina2883 년 전

    궁극의 초거대 망원경.. 남자의 로망 그자체

  • @user-ws4sh7kp3w

    수은을 지구에서 돌리고. 그것을 인위적으로 굳게한다면 어떨까?

  • @LEEByungdon
    @LEEByungdon 년 전

    전에 태양을 렌즈삼아 명왕성 정도에 망원경을 위치시키면 엄청난 망원경이 만들어진다고 들은것 같은데 그건 추진 안하나요?

  • @user-cs2jj2ef4w

    물이 회전할 때 표면이 울퉁불퉁할텐데 어케 유리알 처럼 매끄럽게 하려는지 궁금하네용 ㅎ

    • @kkoonn_
      @kkoonn_ 년 전

      중력 대비 표면장력을 나타내는 무차원후로 Bond 수가 있습니다. 중력의 효과가 표면장력보다 크다면 중력파 (중력장에 의한 공간 왜곡과는 다른 중력파입니다. 수면이 왜곡 입니다.)로 인해 울퉁불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표면장력이 더 크다면 그래서 Bond 수가 작다면 그런 울퉁불퉁함은 무시할 수 있습니다. 지구상에서도 액적의 스케일이 충분히 작으면 (capillary length라고 하는 길이 스케일 보다 작으면) 중력에 의한 왜곡이 무시됩니다. 우주에서는 중력의 효과가 다 줄어들테니 보다 더 큰 길이에서도 그런 울퉁불퉁함은 억제가 되겠지요.

  • @MC-dk1ov
    @MC-dk1ov 년 전

    궁금한게 있는데 우주의 팽창속도가 빛의속도보다 빠르다고 하는데 어떻게 빛이 지구까지 도달할수 있을까요? 모든 물체는 빛의속도보다 빨리 지구로부터 멀어져야 하지 않을까요??

    • @HwanSangHyang
      @HwanSangHyang 년 전

      우주의 팽창속도가 빠른건 지금의 우주입니다. 그리고 현재 우주는 가속팽창을 하고 있습니다. 가속팽창하는 원인을 몰라서 암흑에너지라고 부르고 있죠.
      만일 우주가 계속 가속팽창을 한다면 먼 과거에는 팽창속도가 더 느렷겟죠. 우리는 한참전 빛을 보고있는거고요. 지금이 아니라.
      그리고 국부운하군 정도의 가까운 우주에서는 중력의 힘이 충분히 강하기 때문에 오히려 서로가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도 수십억년 뒤엔 하나로 충돌해서 하나의 은하가 될거라고 합니더.
      그때쯤되면 국부은하단 외 다른은하단 = 적당히 먼 과거에서 출발한 빛조차도 팽창속도 때문에 태양계에 도달하지 못하게 됩니다
      MC님 말 대로죠. 다만 그때도 우리은하 안의 별들은 중력때문에 멀어지지 않기때문에 태양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 @MC-dk1ov
      @MC-dk1ov 년 전

      @@HwanSangHyang 답변 감사합니다 ㅎ
      그렇다면 중력도 이겨내지 못할만큼 우주의 팽창이 충분히 가속 됬다면 그때부터 우리는 다른별들을 볼수 없으며 더 충분히 가속하여 핵력또한 이겨내지못하면 모든 물질은 쪼갤수없는 단위까지 쪼개지고 말겠군요..

  • @lmna1234
    @lmna1234 년 전 +2

    제가 잘 몰라서 그런데. 우리 지구도 결국 빅뱅에서 시작한 건데. 왜 지구에 빅뱅 빛이 도달하지 않은 거죠? 우주 팽창이 빛보다 더 빠른건가요?

    • @user-jp5hj1gj2e
      @user-jp5hj1gj2e 년 전 +2

      예 맞습니다 우주의 팽창 속도는 빛의 속도를 아득히 뛰어넘습니다

    • @user-dz1dw1nn8b
      @user-dz1dw1nn8b 년 전 +5

      빅뱅직후 초창기에는 빛보다 엄청 빠른 속도로 팽창했음

    • @user-dz1dw1nn8b
      @user-dz1dw1nn8b 년 전 +1

      지금 우주의 크기가 138억광년이 아닌 300억인가 400억광년이 넘는걸로 알고있습니디

    • @9p128
      @9p128 년 전 +2

      우리가 볼 수 있는 빛이 138억년까지의 거리랬나

    • @lmna1234
      @lmna1234 년 전

      그럼 우주가 팽창 함에 따라 물질들도 그 만큼 멀어졌으니 지구에 태초의 빛이 도달 안 한 건데.. 물질은 빛의 속도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건가?

  • @user-wf5ui3ke8o

    결국 우리는 빛의 속도를 따라잡을 수없으므로 빅뱅 초기의 인플레이션을 관찰할 수 없음은 불가항력 아닌가요?
    제 생각은 광자보다 빠른 물질의 발견 전에는 혹은 그 물질의 활용 전에는 인류는 우주의 시작을 알 수 없을거라 봅니다
    이젠 빛의 속도를 벗어날 수 있는 존재의 발견이 우선되어야하지 않을까싶어요
    항상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심에 감사합니다

  • @YYeaf
    @YYeaf 년 전

    아마 진짜 물로 하진 않을 것 같고 물보다 훨씬 투명한 특수 액체를 찾아서 쓸 것 같음

  • @jindhamma5451
    @jindhamma5451 년 전

    나의 의식은 눈에 보이는 사물들에 의지하고 있고 눈에 보이는 사물들은 나의 의식에 의지하고 있다. 우주의 중심이 어디인가? 나의 의식인가? 사물들인가?

  • @Grammmmm
    @Grammmmm 년 전

    근데 빛보다 빨리 팽창하는 우주의 처음을 망원경으로 보는게 가능한가?

  • @user-yz8tt9vh5e

    아무도 가지 않고 보지 못한 미지의 영역을 처음 만날때 그들이 느끼는 환희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네. 분명한건 그 감격이 또 다른 미지의 영역으로 가는 힘이 되겠지. 그 만큼 또 인류의 문명은 한 단계 진일보 해 있을 테고..

  • @user-suminlee
    @user-suminlee 년 전

    우주와 관련된걸 보면 늘 드는 생각이지만 기대가 되면서도 무서움 한편으로는 갈릴레오가 종교 재판에 끌려간 이유가 이해가 가기도 하고 현재 알수 없기때문에 꿈꿀수 있지만 꿈꿀수 있기에 무서운느낌 저 지대한 공간 너머에는 뭐가 있을지 모르니까 그저 경외로움

  • @user-sn3gj2bu5c

    달에 소운석이 떨어져서 망원경이 부셔지면..?

  • @toy4115
    @toy4115 년 전

    1:19 콧털삐져나왔다 ㅋㅋ

  • @user-fo2vk9zv8g
    @user-fo2vk9zv8g 년 전 +3

    1. 제임스 웹 아직 보정중 아닌가요? 제임스 웹이 우주 최초의 빛을 못본다는게 어떻게 밝혀졌죠?
    2. 우주 최초의 빛은 아직 지구까지 오지도 않았다고 했는데 그러면 망원경이 아무리 커봤자 의미 없는 것 아닌가요?

  • @user-pw9ek8ws3e

    내용출처 2번의 김한수가 아니고 김헌수에요 찾으시는 사람들 참고하세요

  • @user-ns9kn4qe3u

    망원경의 크기를 인간의 기준으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우주의 기준으로 생각했을 때, 그 크기가 최소한 태양계만해야지만, 우주 구석구석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함. 컴퓨터 CPU로 치면 이제 I5 2500 2세대 CPU임. 지금 12세대임. 망원경도 최소 12세대는 가야.....

  • @gadtion119
    @gadtion119 년 전

    내가 가는 이 길이 곧
    인류의 길이다

  • @user-nk1ex8uf2z

    빅뱅도 결국 우주보다 거대한 공간에 존재한거 아닐까?? 그 공간안에서 우주는 팽창중이고

  • @sangminlee9344
    @sangminlee9344 년 전

    다른 행성에 만들거면 그냥 지구에 만들면 안되나요??

  • @user-il5ur7uw7q
    @user-il5ur7uw7q 년 전 +2

    액체가 빛을 굴절시키니까 회전으로 인한 포물선 형태를 만들어 안테나와 같은 역할을 한다.. 진짜 나사는 대단합니다

  • @Joshua-hyeon
    @Joshua-hyeon 년 전

    우주는 무엇이고 저는 누구인가

  • @chslee6113
    @chslee6113 년 전

    달에서 물을 구해서 액체 망원경을 만들수 있겠군요.
    그러나, 달은 진공 상테니까, 물은 순식간에 증발할테니, 재질은 물은 아닐테고. 증발하지 않는어떤 화합물이겠네요.
    그러나, 대량의 물을 라그랑즈 지점까지 운반은 무리이고...
    과거에 (비누방울 같은) 액체 거품을 이용한 렌즈 개발이 연구 중이었는데..
    이것이 해답이 아닐까 합니다.
    그동안 연구가 잘 되었다면 가능 할수도...
    수십미터 이상의 비누 방울을 만들어내는 장인을 찾아야 겠군요...

  • @hasira2626
    @hasira2626 년 전

    좀 안맞는게 달이 1초과거 태양이 8분과거라면
    시력이 빛보다 느린가요?
    몇만광년 떨어진 천체를 보는게 몇만광년전은 아닐거아뇨?

    • @user-ss6mg1ui4g
      @user-ss6mg1ui4g 년 전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에 시간이 걸리기에 과거의 모습을 보는게 맞습니다

  • @user-hk9mg5ru4g

    전파망원경 여러대를 이용해 지구사이즈급의 간섭계로 블랙홀을 촬영한 것처럼
    제임스웹 망원경을 여러 대 띄워서 간섭계를 형성하면 안됨?

  • @TheWoseven
    @TheWoseven 년 전

    저 아이디어가 혹시라도 초고속으로 현실회되면 즉시 죽을것이지만, 1초내 짧은 꿈은 이뤘으니 억울하지는 않을 듯.

  • @viewthedr
    @viewthedr 년 전 +1

    무슨 소리인가? 제임스 웹 이상의 망원경은 못 보낸다? 아닙니다. 모양은 비슷하지만 더 큰 우주 망원경(예: LUVOIR)들을 이미 설계 중입니다.

  • @user-pl5gi8nk6z
    @user-pl5gi8nk6z 년 전 +2

    우주 탄생의 최초의 순간.. 가슴이 웅장해지네

  • @genosyde78
    @genosyde78 년 전

    태양 중력 렌즈가 짱임.
    달의 물로 만드는 것도 과도기 기술임 ㅋ

  • @ARTWALK300
    @ARTWALK300 년 전

    정말로 빅뱅시 처음 퍼져나갔던 별들은 영원히 보지 못하는 거 아닌가요? 어떤 망원경이 나오더라도 말이죠
    지금도 우주는 팽창하고 우주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더 가속화되어 이미 빚보다 빠른 속도로 멀어지기에 초기 생성된 별에서 오는 빛 들은 오히려 빛이 역행하는(영원히 지구로 빛이 도달하지 못하는)속도라고 하던데..

  • @user-lb2ne8gc9g

    궁금해 미치겠음. 다른 은하에는 탄소 기반이 아닌 다른 구조의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과연 항성 간 이동이 가능해지면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 @sky9900
    @sky9900 년 전

    지금은 소멸되었을지 모르는
    수억 년 전 흘러간 우주영상을 보며 살아가는 인간.
    먼 우주의 누군가도 우리의 과거영상을 보며 살고 있을거고..
    우주의 존재는 모두 서로의 과거만 보고 살 뿐 누구도 서로의 현재 모습을 알 수 없다는 게 이 우주의 이상한 법칙.

  • @schoolkeepa
    @schoolkeepa 년 전

    물부족한데 이렇게까지...

  • @user-zu7wp5mw4k

    물을 굴절 랜즈라...메기도?

  • @user-mf3bn2pp2k

    이제는 천문학까지 다루는 채널

  • @user-jc2yy9ul5f

    그냥 망원경 조립식으로 만들어서 우주에서 조립하면 되는거아님? ..
    달에 액체부어서 망원경 만드는것보단 싸게먹힐거같은대

  • @user-bz9ul1jl2q

    나사는 아직도 멀었군요 그보다 중요하게생각할것은 헤성에있습니다 다가오는혜성이나 그어던물질을 잘이용하면 그어던물방울보다 더욱더 그것을 확대할수잇습니다 헤성의고리는뭐죠? 속도에 비레해서 빚이오는시간을 역이용하면?>??

  • @tysonk8822
    @tysonk8822 년 전

    좀 이해가 안가는 것이....지구도 빅뱅으로 폭발해 나온 물질들일텐데 빅뱅은 1초도 안되는 순간에 폭발해 나왔을테고 물질의 속도는 빛보다 빠를 순 없으니 우주 탄생의 순간은 이미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우주 공간으로 뻗어나가고 있을건데 그걸 어떻게 관측하겠다는 걸까요???
    우주끝까지 볼수 있는 망원경이 있더라도 탄생의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맞아야 볼 수 있을텐데....;;
    즉, 빅뱅점의 위치가 지구로부터 1000억광년이라면 지금 보이는건 1000억광년전의 모습이 맞지만 지구물질들이 (예를 들어) 3000억년동안 거기서부터 이동해 왔다 치면, 지금 보는 빅뱅점의 모습은 빅뱅후 2000억년 지난 모습인데 말이죠.

  • @HwanSangHyang
    @HwanSangHyang 년 전 +1

    음.... 어짜피 우주로 거대한 액체를 옮기는것 자체가 이미 제임스웹을 뛰어넘은 무시무시한 난이도 아닐까요?
    거대한 크기의 액체를 우주로 보낸다고 치고 1:41에 나온대로 구체에 가까운 모양이면 충분히 볼록렌즈처럼 활동을 할 겁니다.
    2:38초에 100m 라고 언급한 김에 지름 100m짜리 구로 계산해보면... 이 액체의 부피는 약 157만 세제곱미터가 조금 넘고요, 1세제곱미터의 물의 밀도는 대략 1리터당 1킬로그램. 1세제곱미터당 1톤이죠.
    157만 세제곱미터면 157만톤을 옮겨야 한단 소리입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경우 6.5톤이였습니다. 157만톤의 물이라면 24만 7000번 정도 쏘아 올려야 한다는겁니다. 물론 사용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더 가벼운 액체를 사용할수 있을것이고, 회전시켜 오목거울로 만들든다 했으니 부피는 157만세제곱미터 보단 덜 필요하겟지만요. 어마어마한 무게의 액체임에는 틀림 없을겁니다.
    하지만, 일단 우주로 보낼 수만 있다면, 획기적이긴 하겟죠. 우주에 망원경을 쏘아 보내는 이유가 공기의 산란이나 이런걸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거기에 엄청난 직경을 확보할 수 있다면 지상의 그 어떤 광학 망원경보다 좋을겁니다.
    문제는 이 액체 덩어리를 컨트롤하는 일과, 액체 덩어리를 실어 나르는 일의 스케일이 제임스웹을 뛰어넘는 역대급 스케일이라 그렇지....

    •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년 전

      달에 물이 많아서 로봇으로 채취만 잘하면 가능할 수도?

    • @sssssunnnnn
      @sssssunnnnn 년 전

      @@infested_pigeon 달 어디에 물이 있어요??ㅋㅋㅋㅋㅋ 미친 개무식하네

    • @juno1665
      @juno1665 년 전 +1

      @@sssssunnnnn 현재 물이 달에서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논문과 연구들에 의하면 얼음의 형태로도 존재할수도 있는것이고 아직은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인데 물이 많아서 그걸 쓴다고 한게 개 무식하다라고 한 발언은 좀 부적절한 것 같네요 ㅎㅎ

  • @HoneyMoMee
    @HoneyMoMee 년 전

    4:21

  • @My_Style17
    @My_Style17 년 전

    달나라에 그래서 누가 어떻게 액체망원경을 설치 할수 있다는 거냐???